정전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자급자족가족 조회 7회 작성일 2024-01-17 23:18:16 댓글 0

본문

정전류(CC)설정, 세팅방법 / 리튬이온 배터리, 인산철배터리 DIY 필수 팁

정전류(CC)설정, 세팅방법 / 리튬이온 배터리, 인산철배터리 DIY 필수 팁

주로 배터리 충전기를 만들때 꼭 필요한 팁입다.

CC를 명확히 이해를 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셔야 안전하게 사용을 하실수 있습니다.
@sm07sw06 : 영상 잘 봤습니다.
@user-nf3mg2nu9p : 영상은 잘봐습니다
그런데 소리가 너무 작아요

LED 정전류 제어 - 벅 컨버터의 정전압 정전류 기능을 활용한 LED 부하 정전류 구동

오늘 영상은 카페에 질문을 남겨주신 분에 대한 답을 드리기 위해 촬영한 영상입니다. 아마 많은 분들께서 궁금해 하실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회로도와 함께 추후 자세한 원리와 사용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LED정전류제어 #LED정전류회로 #LED정전류

# 네이버 카페 : https://cafe.naver.com/ludvik
@LUDVIKPOWER : 기존 벅 컨버터의 회로에서 영상의 내용과 같은 튜닝 및 실험을 하고자 하시는 분께서는 아래 링크의 게시글을 참고해주세요 ^^

https://cafe.naver.com/ludvik/173
@thingnet-todoro : 좋은 내용들 항상 감사 드립니다.
다음영상도 기대하겠습니다.

정전류 회로에서 출력 전류 조정을 저항으로 제어를 하셨는데 외부에서 PWM 입력으로 조정하려면 어떤 회로 구성이 필요할까요?
질문 내용이 수준 떨어지는 점은 이해 부탁 합니다.

요즘 시중의 LED드라이버 IC들을 보면 출력 전류를 고정해놓고 최종 출력을 PWM 입력으로 단속해서 밝기를 제어하는 것 같아요.
출력 전류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출력 전류는 픽스 하고 켜는 시간을 PWM으로 제어해 디밍을 구현하는 것 같습니다.
결국 최종 출력은 입력 PWM 신호에 따라 PWM입력에 동기되서 플리커가 발생하는 구조인 것 같습니다.
동영상의 내용과 같이 최종 출력을 리니어티 하고 출력 전류는 PWM으로 제어해 보고 싶습니다.

그리고 요즘 LED들은 COB 형태로 많이 나오는데 구동 전압이 높아 (30V이상) 벅보다는 부스터 회로가 더 많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5, 9, 12V의 입력으로 30~40V의 LED를 외부 PWM입력으로 정전류 제어하는 방법이 현실적으로 가장 필요한 것 같습니다.
제가 이번에 사용해보려는 LED도 Vf 36V 300mA 가 정격이거든요
12V로 PWM 입력으로 리니어한 정전류 제어를 해보는 것이 목표 입니다.

아마츄어 메이커라 질문 내용이 부실해도 이해 부탁 드립니다.
@user-xm1ts5dt9v : 항상 좋은 내용에 감사드립니다.
혹시 영상에서 사용하신 제품은 어디서 구매할 수 있나요?
LED 제어 장비를 만들려고 하는데 써보고 싶습니다.
@sizbus : 이런걸 제품으로 만든게 led 테스터라고 하는 제품들인거군요? 이런 원리였구나~ 잘 봤어요.

TL494를 활용한 벅 컨버터 회로 - 정전압, 정전류 회로 그리고 출력 과전압 방지 회로 (TL494 사용법/OPAMP 원리)

PWM IC 내부의 OPAMP를 활용해 정전압과 정전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TL494를 이용해 벅컨버터의 정전압, 정전류, 출력 과전압 방지 기능을 구현하는 회로를 소개해드립니다.

# 이메일 : ludvik-lab@naver.com
# 네이버 블로그 : https://bit.ly/2KbOClp​​​​
# 네이버 카페 : https://bit.ly/3qLqZRc
# 스토어 : https://bit.ly/3qO1xuP

#TL494사용법 #벅컨버터회로설계 #정전압회로
@user-qw3jn7bd7i : 이제는 만지지않는 그리운 시절의 회로들... 쟁이라 그런지 이런영상을 클릭하게 되네요.
시작하시는분들은 열심히 배우고 깨우치시기를 바랍니다.
@_INCLUDE :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자기꺼를 남에게 내어주기가 쉽지않은건데 이렇게 영상으로 공개해 주시니 다시한번 감사하단 말씀 드립니다
@twins1225t : 감사합니다~ 이거 가지고 전기 회로 입문해보겠습니다.
정전압/ 정전류 회로 이렇게 쉽게 만들 수 있다니 ㅎㅎ
@jcmh74 : 감사합니다. 한참 공부 중이었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네요.
@seikun7 : 기초 수학 질문 드려도 될지요 ㅜㅜ
8:09 여기서 식이 변환 되는 과정이 궁금한데, 양변에 R2/(R1+R2)의 역수를 곱하였더니 좌변의 R2/(R1+R2)가 1이 되어 소멸되고, 그 결과로 우변에 (R1+R2)/R2 가 새로 생기는 것인가요?
분수 껴 있으면 이항이 어렵더라구요 ㅜㅜ

... 

#정전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4,281건 364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