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입간판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울트레인 조회 33회 작성일 2020-07-28 15:57:47 댓글 0

본문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잘 모르고 그냥 가는 '병원'과 '의원'의 중요한 차이!!!!

안녕하세요~! 감성지식 채널 이슈텔러 입니다~^^
구독 + 좋아요~ 부탁드려욧!^^ 그리고 항상 행복하세요!!!^^

♥ 이슈텔러 책(감성지식 에세이) "이번 생은 틀렸다고 느껴질 때" 구경가기~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u0026ejkGb=KOR\u0026linkClass=\u0026barcode=9791188469222
♥ 인스타 팔로우 고고~ https://www.instagram.com/issueteller/
♥ 팬아트 보내는 E-mail : ianhappy0806@gmail.com
좋은 유튜브 인증마크 : 쾅!
딸기포도TV : 오늘 팬아트 모임??!
병장 : 정형외과로 예를 들자면

일반의 : 의사시험 합격한 뒤 인턴이나 레지던트 과정 밟지 않고 개원해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자영업 수술할줄모름)

수련의 (인턴 : 1년) 의사시험에 합격 뒤 일정 규모이상 병원에서 내과.외과.소아과.산부인과 등의 진료분야를 두루 경험하고 배우는 과정 인턴만 하고 개원해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자영업 수술할줄모름)

전공의 (레지던트 : 3-4년) 인턴 마친 후 특정 임상과를 선택해 그 분야의 치료술을 집중적으로 배우고 개원해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수술을 할줄 아는지는 모름)

전문의 : 레지턴드 과정을 거친 두 전문의 자격시험에 합격후 개원해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 개인병원 개원하거나 개원 안하고 관절전문병원 원장(주사도 놓고 수술도함)

전임의 : (Fellow,임상강사) 인턴과 레지던트과정을 마친 전문의가 보다 전문적이 연구와 임상경험을 쌓기 위해 대형병원에 근무하는 의사. 정형외과의 경우 손과 팔,어깨,척추,골반과 엉덩이,무릎,다리와 발 등의 세부분야를 전문으로 함(대학병원 교수 교수임에도 관절전문병원에 있는 의사도 있음 수술만함)

촉탁의(囑託醫) : 학교나 회사같은 데에서 건강 진단,질병 치료 따위를 위족하고 있는 의사 (a part-time doctor)
구찾두 : 혹시 복수 전문의도 가능한가요?
1년동안 인턴 후 4년 레지전트 후 전문의 시험에 합격 하면 해당과의 전문의가 되는데..A라는 사람이 정형외과 전문의에 합격 후 다른 과 전문의가 되고 싶다면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하나요?
ex) 의대6년부터 다시...또는 원화는과 레지전트 4년 후 시험....
어아라리 : 하 어쩐지 동네 피부과 갔을때 의사가 대충보고 나머지는 간호사들이 하더만 전문의 아니였네 피부과는 무조건 전문의 한테만 가야겠다
최건희 : 오 이 문제 옥탑방에 문제아들에서 나왔는데 전 정답이 넘 궁금해서 이거 먼저 찾아봤죠 ㅋㅋㅋ
부산언니 : 아~~~~이걸 이제 알다니..그러고 보면 전문성이 달랐는데..단순히 과잉진료 하나? 생각했어요.ㅎㄷㄷ
서울메뚜기 :
유병남 : 어머 몰랐어요 감사합니다
M 83 : 병원/의원 - 병상수 30 이상 이하 차이
4년 공부 더한 전문의만
>> XX + '전문과목명' + 병원/의원
일반의는
>> XX + 병원/의원 진료과목 : XXXX
제일 좋은건 많은 환자를 접하고 오랜기간 증상의 추이를 볼수있는 규모인,
'병원' 그리고 '전문의' 여야하니..
★★★ 'XX 정형외과 병원' ★★★

병원간판을 보면 딱! 알 수 있는 것?

아직도 아무 병원이나 가십니까?
이젠 내가 진료받을 병원, 제대로 알아보고 가세요^^

-전문의 판별법-
1. 병원 **** 확인하기
2. 의사쌤의 ** 확인하기
3. ** 보고 구별하기

영상에서 확인해주세요♥

좋아요와 구독은 초보 유튜버에게 비타민같은 존재♥
VeROVEro : 왜 지방흡입은 성형외과 전문의가 잘 하지않나요? 하더라도 너부 비싸거나..... 눈코랑 병행해서 다른 케이스를 더 많이하시지 지방흡입은 적게하시더라구요 ㅠㅜ 대부분 가정의학과나 외과 전문의 분들이 하시더라구요... 지방흡입 하신 분들 얘기를 들어봐도 지흡만하는 병원이 더 결과가 좋다고......성형외과 의사분들은 지흡을 안하는 이유가 따로있나요? 아님 지흡은 많은 케이스를 해보면 실력이 늘어나나요?
대형 병원에서도 다른파트는 전부 성형외과 전문의 인데, 유독 지방흡입만 가정의학과 전문의에게 시키는경우가 많고..
이번에 복부 지방흡입을 하였는데. 처음엔 전문의 분께 수술 받으려고했는데. 그분은 가슴만 많이하시구 지흡은 거의 안하시는분이고. 씨씨티비가 있는데도 30분이상 공개 불가라고하셔서 찝찝해서 취소하고....
결국엔 외과 전문의가 비수면으로 수술하는곳에가서 받았거든요..... 아무리찾아도 성형외과 전문의 인데. 지흡을 전문적으로 하는분들이 없더라구요...
sarah : 성형하실 분들은 꼭 알아야 할 정보네요!

성형외과는 성형외과 전문의만 할수 있게 법을 바꿔야 하겠습니다.

(개인카페창업) 간판 비싸게주고 할 필요가 없습니다.

간판 비싸게하지마세요.
요즘 성향이바뀌고있습니당.
창업앞두신분들은 꼭 보세용^^
털준 : 용주형 그럼 밤엔 간판 어떻게봐요 ?? 이쁘긴한데 어두워지면 않보이는거 아닌가요 ?? 조명을 추가한다거나 방법은 없나요 ??
김동진 : 종사자로서 영상보고 댓글남겨요~ 옥외광고법률을 고모부님께 제대로 여쭤보셔야할듯요~ 논란에 소지가 심각하게 드러날 영상으로 생각됩니다~
ON M : 솔직히 간판 너무비싸ㅠ 간판업하시는 분들이 싫어할 영상이네요
수원안빵suwon anbbang signboardman : 잘 보고 갑니다.^^
백야 : 간판 사업하는 청년입니다. 비전문가가 전문가인마냥 얘기하고선 마지막에 간판에 크게 돈들일필요가 없다..라니.. 이런 어이없는 ㅋㅋㅋㅋ 휴
1.초반 철제스카시의 시공방법을 단순 피스고정이라 말씀하셨는데 각각의 현장마다 시공방법이 달라집니다. 그리고 또하나, 여기는 비조명이죠. 그니깐 셀프로 하실수 있었던거고 비용도 30만원에 퉁쳤다. 이렇게 얘기하는겁니다. 그럼 만약 조명이 들어가고 업자를 낀다면 금액은? 1인 인건비 하루 25만원, 조명에 들어간 부자재값(업체마다 사용하는 led,smps등등 다름), 철제스카시값 으로 계산이들어가겠죠.

그리고 두번째, 애견샵할때 어디는 600 어디는 400..
간판의 규격이다르고 층수가 다르기에 장비값이 들어가며 글자수와 크기마다 들어가는 led갯수가다르고 , smps의 값도 달라집니다. 현장의 간판 철거건이 있는지, 간판을 달기전 작업능률의 대한 난이도까지 다 생각하며 견적이 나오는겁니다. 견적이라는것이 업체마다 다른 이유는 이 기준이 다들 다르기때문인거고, 두번째론 디자인이 모두 다르기때문입니다. 간판은 디자인에따라 제작되는 자재선정부터 가공방법이 달라지기에 값이 천차만별로 달라집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한가지 예로 같은 자재와 크기로 영문 A자와 흘림체 A자의 값이다르다는겁니다. 비전문가가 경험을 토대로 설명한 간판의 대한 얘기를 정답으로 듣지마세요.
가장 중요한건 소비자들은 간판을 알아보실때 스스로 어느정도 예상책정금액과 원하는 디자인을 얻을수 있는곳, 그리고 무상a/s를 해줄수 있는 업체를 잘 비교하여 알아보세요.
성공하자 : 벽에 피스질만하면된다는데 피스가 벽에 그냥 박히나요 함마드릴 로 뚫고 칼브록치고 임팩트로 조여야되는데ㅋㅋ2층에달리는건 사다리로 달나요 비전문가가 달다가 떨어지면 누구 손해죠?
이영상을보고 아 간판달기 쉽구나하고 직접해야지하고 주문해서 물건받고 하다가 다치거나 해놓고 떨어져서 인명사고나거나 못해서 시공업체 의뢰해서 돈 더들어가는경우도 많습니다. 외부에 달는 간판은 태풍이불거나햇을시 떨어져서 인명사고가 날수잇어서 옥외광고사업자가 잇는 업체에서 설치를하여 설치전에 어떻게 설치를하겟다는 시방서와 설계도를 제출하고 구청에서 허가를바다양 달수잇습니다. 셀프로 시공하는건좋은데 이러한사항을 일려줫으면 하네요 안그러면 비전문자들이 달아놓은간판에 태풍만불면 떨어져서 인명사고 나는 미래가 예상되네요 돌출간판 직접시공하셧다햇는데 궁금한게 앙카시공안하고 피스로 시공햇나요? 태풍불면 무조건 떨어지겟네요 그거맞고 피해보는사람 없길 바랍니닷
한길만걷자 : 감각있고 원하는간판에 건물에맞는 규격을 알고 간단한 전기작업이라도 할줄알아야 저렴한거고 ..거기에다가 일러스트 작업도 할줄알아야하고 간판업자가 다갖춰야할걸 본인이 다갖춘상태일때의 이야기 같구요
건물에 어울리는 간판과 간판종류도알고 벽에다가 피스박고 작업한다고 하셨는데..
벽이 공구리일경우 피스 작업어렵습니다 칼블럭 치고 석고 드라이피트 등등 벽채도 잘알아야하구요 공법이 많습니다... 영상자분은 감각이있으신분 같네요 ㅎㅎ
집안사람이 간판업을 하시면 이렇게 쉽게 간판업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 집안 분이 왜 불항인지 알것같네요 ..옥외광고 자격이 그냥 있는게 아닙니다 ㅎㅎ직접하셔도 되지만 간판 다는것부터 일단 무면허 상태에서 시공 한듯으로 보이네요 구청에 문의하시면 잘 설명해드릴겁니다 애견 카페 간판 총맞는 이유는 다있습니다 .. 본인 가게를 위한 홍보같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Jiwon Kim : 현직 간판공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애견카페 간판 사진을 보니 600만원이라는 가격이 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진상으로 유추해서 견적을 내보면 저희 공장에서 나가는 가격 기준으로
갈바 6m - 24만원 (1m당 4만원)
채널 14개 - 45만원 (한 글자에 3만원 정도)
LED 300개 기준 - 7만원 (LED 1개당 230원)
조립비 등 기타자재 - 15만원
여기까지 해서 100만원 정도 듭니다.


이정도가 하청공장에서 간판업자한테 나가는 비용이고
여기에 시공비가 30~50만원 정도 추가 됩니다. 그럼 총 130~150만원 정도겠죠.
(크레인 보유업체라면 시공비는 더 저렴합니다.)


따라서 간판업자 마진 등을 고려했을 때 보통 저정도 간판이면 200만원이면 적정하다는 생각입니다. 실제로 그렇게 형성이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간판 크기가 커진다고 해도 제작단가는 사실 큰 차이가 없습니다.

가격을 너무 심하게 바가지 쓰신것 같습니다.
JB Kim : 그냥 싸게해라 내용이 이것밖에 없네요 정보도 좀 주면 좋았을것을
원라나 :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피스 박은 오펜스 영어간판 같은것은 뭐러고 검색하면 되나요?

... 

#병원입간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4,281건 1200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