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튜닝

튜닝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자동차튜닝관리체계 구축방안 국회공청회’ 개최

페이지 정보

작성자 CARTVNEWS by 교통… 작성일16-03-03 00:00 조회9회 댓글0건

본문



www.cartvnews.com

튜닝규제에 대한 합리적인 개선과 건전한 튜닝문화 조성 등 튜닝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국회의원 회관에서 ‘자동차튜닝관리체계 구축방안 국회공청회’가 열렸습니다.

이번 국회공청회는 국토교통위원회 정성호 국회의원과 한국자동차공학회가 주최하며 교통안전공단, 한국자동차공학회 자동차자원순환 및 튜닝부문회와 더불어 신한대학교 자동차튜닝연구소가 공동 주관했는데요.

자동차튜닝의 활기제공 및 일자리창출로 부흥시키기 위한 자리인 만큼 각 분야의 전문가들도 함께 참석했습니다.

먼저 한국노동연구원 오상훈 박사는 “우리나라는 자동차튜닝은 불법이라는 왜곡된 자동차문화로 인해 전문성과 대중성을 확보하지 못해 미국, 독일,일본 등의 튜닝시장과 대비해 굉장히 작은 규모의 시장을 가지고 있다”라는 말과 함께 ‘튜닝 업종 고용 영향 평가 분석 및 일자리 창출효과’에 대한 주제발표를 시작했는데요.

오상훈 박사는 자동차 튜닝 규제에 대해 ‘일부만 허용하고 일반적으로 금지하는 현행 B등급’에서 ‘일부만 금지하고 일반적으로 허용하는 C등급’ 또는 ‘대부분을 허용하는 D등급’으로 완화할 경우 각각 고용 효과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C등급으로 규제완화 할 경우 2017년 2만2000명 그리고 2020년엔 2만9000명으로 고용자 수가 증가 할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이와 더불어 매출액 또한 각각 1조9000억원,2조5000억원으로 늘어난다고 전했는데요.

또한 D등급으로 완화 할 경우엔 고용자수가 2020년까지 4만1000여명으로 증가를 보일것이며 3조6000억원의 매출을 창출해낼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인터뷰-한국노동연구원 오상훈 박사]

그 동안 우리나라는 자동차 튜닝에 대해 지나치게 규제되어 왔으나 (법규정)완화를 통해 산업환경이 조성되는 경우, 거기에 따른 매출과 부가가치, 일자리 창출효과가 상당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음으로 신한대 하성용 교수의 ‘자동차튜닝관리체계 수립 방안’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는데요.

하성용 교수는 “2013년 이 후 규제개혁의 일환으로 정부가 자동차 튜닝 관련 규제를 개선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효과는 미미하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튜닝 관련 직무분석과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자동차 튜닝 국가직무능력표준(NCS)개발에 초점을 두어 전문교육프로그램 구축과 함께 이론중심의 교육과정을 응용할 수 있는 설계기술중심으로 전환해야한다며 전문인력 양성에 대한 중요성을 강력히 주장했습니다.

아울러 기존인력에겐 전문튜닝에 대한 교육을 추가하는 동시에 신규인력에겐 튜닝 자격증제를 도입하는 등의 방안도 추가적으로 내놓았습니다.

교통뉴스 김종혁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8,424건 908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