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 칼럼] 자동차 튜닝, 선진형 시스템 도입해야... |카24/7
페이지 정보
작성자 카24/7 작성일18-09-10 00:00 조회14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김필수 칼럼] 자동차 튜닝, 선진형 시스템 도입해야... |카24/7\r
►Website:http://autocarmagazine247.com/ ►Subscribe for more:https://goo.gl/KMYj3k\r
자동차 튜닝하면 우선 부정적인 시각이 먼저 다가온다. 듣기 시끄러운 소음과 보기 흉한 외부 부착물 등 나쁜 것의 대명사가 바로 튜닝이 된 지 오래이다.
각종 매스컴에서도 이러한 모습을 반복적으로 내보내면서 ‘불법 튜닝’이라는 용어를 항상 사용한다. 엄밀히 얘기하면 ‘불법 튜닝’이 아니라 ‘불법 부착물’이라고 해야 올바른 지적일 것이다.
사실 자동차 튜닝은 선진국에서는 매우 긍정적이 용어이다. 자동차에 대한 신기술을 개발하는 첨단 시험장 역할을 하면서 자동차 산업의 새바람을 불어넣고 자동차 매니아를 비롯한 자동차 애호가들에게 나만의 차량을 구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자동차 문화의 대표적인 영역의 하나이다.
더욱이 튜닝과 더불어 실과 바늘의 관계인 모터스포츠와도 항상 상호발전하면서 더욱 풍부한 선진형 자동차 문화를 구축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시장에서는 수십 년 동안 자동차 튜닝은 부정적인 시각이 팽배되면서 단속의 대상이었고 이 영역은 음지 문화의 대명사였다.
이 문화를 이해하는 전문가들도 극히 적고 정부 관계자는 문외한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분야의 발전에 대한 인식 자체도 없고 필요성도 못 느낀다고 할 수 있었다. 불법 부착물을 단속하는 경찰의 경우도 자체적으로 기준을 만들어 단속할 정도로 우리의 기준은 모호하고 문제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미국이나 영국 등 선진국의 경우 엔진과 변속기를 구입하고 자신이 직접 차제를 만들어 번호판을 정식으로 붙이고 길거리를 운행할 수 있을 정도로 자동차 튜닝 자체가 선진화되어 있다. 그렇다고 그냥 풀어준 것이 아니라 열어줄 것은 열어주고 단속할 것은 단속하는 선진형 시스템으로 되어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은 이러한 차량을 만들어 운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법규 자체가 허가를 위한 법이 아니라 불허를 위한 법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다. 옛날의 규정을 그대로 사용하고 세계화 추세에 대응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 변해야 하는 시기이다.
내년부터는 7월부터 한EU FTA가 발효되고 내후년부터는 한미FTA가 발효될 것인 만큼 이제는 선진형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생산자, 판매자 중심이 아닌 소비자 중심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