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생활용품
페이지 정보
본문
인스타 감성 주방용품 판매하고 싶으시죠?
#스스 #초보셀러 #주방용품사입 #두번째영상
sogum Dal : 안녕하세요! 영상 너무 잘 봤어요!!❤ 주방용품 창업 영상은 거의 없는데 세세하게 알려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혹시 저도 도매사이트 받아볼 수 있을까요...? 바쁘시겠지만 부탁드립니다♀️
곰돌이푸 : 너무 유익하고 힘나는 영상이네요 .홈까페 용품들이 어쩐지 위탁판매용으로 많이 없다는걸 이제야 알았네요 저는 투잡으로 위탁판매를 해보려고하는상황이었거든요
처음 오픈하셨을때 소매 도매 비용을 어느정도 잡고하셨는지 영상제작해주실수있나요?
낮달 : 카페 비추하는 영상 보고 정주행 중인데 이 영상에서 댓글로 다들 도매몰 주소를 물어봐서 괜히 궁금해지네요 ⌯' ▾ '⌯ 구독자 쑥쑥 늘어나서 하루 빨리 주소 공개하시는 영상 찍는 날이 오시길 기대!
coreanita 니따 : 안녕하세요! 저도 초보셀러인데 사이트 부탁드릴게요 :) jrest247@naver.com 입니다!
ㅎㅈ heujeu : 바리스타로 일하는 몇년동안 고민했던 리빙용품 판매를 결심하면서 서치하던 중 우연히 담사장님 영상을 보고 많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 혹시 저도 도매 사이트 주소 공유 부탁드릴 수 있을까요?!
생활용품 수입 인증 기준 & 관세청 HS코드를 활용한 수입요건 확인
전안법을 기초로 생활 용품 수입시 인증기준을
알아보고 내가 수입하고싶은 아이템이 인증품목인지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관세청 홈페이지에서 "HS코드" 조회를 통한
수입 요건 확인과 무역에 필요한 인허가 조건을
직접 확인 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무역창업을 위해서는 꼭 알아야하는 필수 지식과
노하우를 시리즈로 업로드 해드리고 있습니다^^
신났다욱이씨 : 잘 들었습니다~^^
말리꽃손글씨 : 도움이 너무 많이됩니다
PUZZLE : 오늘 몰아서 공부중인데 500명 넘었네요? 축하해요~ (관세 법령 정보 포털 암기 암기^^)
한과장 : 안녕하세요 다른분들보다 황동명님이 더 설명을 간단명략해서 이해하기 좋아요 앞으로 많은 영상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제가 궁금한적이 있는데요 13세이하 어린이 제품은 안전확인을 꼭해야한다고 들었는데요 건전지가 들어가 있는 장난감은 안전확인만 하고 수입해도 되는건가요? 아니면 전자쪽으로도 인증을 받아야하는건가요/.?
glara : 잘 보고 있습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가난한 나라들을 덮치다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 / KBS 2022.05.21.
가뜩이나 물가인상 압력이 거센 가운데 우크라이나 전쟁까지 터지면서 지구촌 수많은 나라들이 인플레이션 홍역을 앓고 있는데요. 특히 경제가 취약한 저개발 국가들은 에너지와 식량 가격 폭등으로 더 혹독한 시기를 겪고 있습니다. 게다가 이런 물가불안이 이제 정치적 불안으로 번지고 있는데요. 그 실태를 방콕 김원장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스리랑카 수도 콜롬보.
하루가 멀다 하고 식료품 가격이 오릅니다.
["설탕은 1kg에 250루피예요. (예전에는 얼마였어요?) 한달전에는 125루피였어요."]
제조업이 부실해 생활용품 대부분을 수입하다보니, 수입물가가 천정부지로 치솟았습니다.
휴대폰 가격이 한달새 3~40%씩 올랐고, 그나마 재고도 없습니다.
[휴대폰 대리점 직원 : "삼성(휴대폰은) 다 팔렸어요. 재고가 없어요. (언제부터요?) 2-3주 전부터. (아이폰은 가격이 얼마예요?) 396,000루피(150만 원 정도)요. (한 달 전에는 얼마였어요?) 290,000루피(107만 원 정도)요."]
나라빚을 갚을 달러도 부족합니다.
정부는 달러 유출을 막기위해 석유 등의 수입 제한조치를 내렸고, 그러자 기름값이 급등했습니다. 물량도 턱없이 부족합니다.
[뚝뚝이 기사 : "1시 40분에 왔어요. (지금 4시인데 오늘 기름 넣을 수 있을 것 같아요?) 가까이 가봐야 알아요."]
석유가 없으니 전기공급도 쉽지 않습니다.
전기가 자주 끊기다보니 문을 닫는 상점들이 늘어납니다.
경제는 사실상 붕괴 직전입니다.
[신임 스리랑카 총리 : "오늘로 석유 재고량이 하루치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은 거의 모든 가난한 나라의 에너지 요금 폭등을 불러왔습니다.
라오스 수도 비엔티안.
역시 오토바이에 기름 한번 넣기가 쉽지 않습니다.
["다시 와야할 것 같아요. 차라리 그냥 포기하는게 나을 것 같아요."]
기름값이 급등하자 태국에선 트럭이나 버스에서 기름을 훔쳐가는 도둑들이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태국 정부는 특히 식료품 물가를 잡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식료품 공급 트럭 수십여 개를 급조해 주택가에 임시 상점을 차렸습니다.
달걀이나 식용유처럼 최근 가격이 급등한 식료품들을 싸게 판매합니다.
[뜨라빠윳 창탄/공무원 : "달걀하고 식물성기름, 설탕, 쌀이 제일 잘 팔립니다. (쌀은 가격이?) 쌀은 보통 145바트인데 저희는 120바트에 팝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 압력은 더 거세지고 있습니다.
태국 정부는 지난 2월부터 우유와 달걀 돼지고기 등 18개 품목의 가격을 규제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지정한 가격보다 더 비싼 값에 달걀을 팔다 적발된 상점 주인이 서럽게 웁니다.
[상점 주인 : "됐어요. 안 팔면 되잖아요. (불법은 아니예요.) 이건 정말 너무하는 거예요."]
이집트에선 밀수입이 줄면서 주식인 빵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정부가 보조금을 늘리고 있지만 이미 수십만 명이 기아에 직면했습니다.
한때 세계 최대 소\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468296\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인플레이션 #저개발국가 #스리랑카
인생2회차 : 기름 밀가루 등 들어가는 맛있는 음식 지금 먹어둬야지 한국도 언제 확 심해질지 ㄷㄷ
인생2회차 : 세상이 저래도 침대에 누워 유튜브 볼수 있는 한국..돈만 있으면 진짜 살기 좋은 나라
U. Y. Yeo : 가난한 나라, 가난한 서민들이 더 힘든 세상이다. 마음이라도 서로 나눌수 있는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다.
제네시스 : 우리나라의 97년 아이엠에프네ㄷㄷ
eun sook kang : 저런나라는 지원금을 주지 않았는데도 물가가 오르네요.. 그러니 울나라 지원금 줘서 물가가 올랐다고 하는건 그전 정부에 대한 정부실책이라고 언론 플레이 한것.
#스스 #초보셀러 #주방용품사입 #두번째영상
sogum Dal : 안녕하세요! 영상 너무 잘 봤어요!!❤ 주방용품 창업 영상은 거의 없는데 세세하게 알려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혹시 저도 도매사이트 받아볼 수 있을까요...? 바쁘시겠지만 부탁드립니다♀️
곰돌이푸 : 너무 유익하고 힘나는 영상이네요 .홈까페 용품들이 어쩐지 위탁판매용으로 많이 없다는걸 이제야 알았네요 저는 투잡으로 위탁판매를 해보려고하는상황이었거든요
처음 오픈하셨을때 소매 도매 비용을 어느정도 잡고하셨는지 영상제작해주실수있나요?
낮달 : 카페 비추하는 영상 보고 정주행 중인데 이 영상에서 댓글로 다들 도매몰 주소를 물어봐서 괜히 궁금해지네요 ⌯' ▾ '⌯ 구독자 쑥쑥 늘어나서 하루 빨리 주소 공개하시는 영상 찍는 날이 오시길 기대!
coreanita 니따 : 안녕하세요! 저도 초보셀러인데 사이트 부탁드릴게요 :) jrest247@naver.com 입니다!
ㅎㅈ heujeu : 바리스타로 일하는 몇년동안 고민했던 리빙용품 판매를 결심하면서 서치하던 중 우연히 담사장님 영상을 보고 많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 혹시 저도 도매 사이트 주소 공유 부탁드릴 수 있을까요?!
생활용품 수입 인증 기준 & 관세청 HS코드를 활용한 수입요건 확인
전안법을 기초로 생활 용품 수입시 인증기준을
알아보고 내가 수입하고싶은 아이템이 인증품목인지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관세청 홈페이지에서 "HS코드" 조회를 통한
수입 요건 확인과 무역에 필요한 인허가 조건을
직접 확인 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무역창업을 위해서는 꼭 알아야하는 필수 지식과
노하우를 시리즈로 업로드 해드리고 있습니다^^
신났다욱이씨 : 잘 들었습니다~^^
말리꽃손글씨 : 도움이 너무 많이됩니다
PUZZLE : 오늘 몰아서 공부중인데 500명 넘었네요? 축하해요~ (관세 법령 정보 포털 암기 암기^^)
한과장 : 안녕하세요 다른분들보다 황동명님이 더 설명을 간단명략해서 이해하기 좋아요 앞으로 많은 영상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제가 궁금한적이 있는데요 13세이하 어린이 제품은 안전확인을 꼭해야한다고 들었는데요 건전지가 들어가 있는 장난감은 안전확인만 하고 수입해도 되는건가요? 아니면 전자쪽으로도 인증을 받아야하는건가요/.?
glara : 잘 보고 있습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가난한 나라들을 덮치다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 / KBS 2022.05.21.
가뜩이나 물가인상 압력이 거센 가운데 우크라이나 전쟁까지 터지면서 지구촌 수많은 나라들이 인플레이션 홍역을 앓고 있는데요. 특히 경제가 취약한 저개발 국가들은 에너지와 식량 가격 폭등으로 더 혹독한 시기를 겪고 있습니다. 게다가 이런 물가불안이 이제 정치적 불안으로 번지고 있는데요. 그 실태를 방콕 김원장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스리랑카 수도 콜롬보.
하루가 멀다 하고 식료품 가격이 오릅니다.
["설탕은 1kg에 250루피예요. (예전에는 얼마였어요?) 한달전에는 125루피였어요."]
제조업이 부실해 생활용품 대부분을 수입하다보니, 수입물가가 천정부지로 치솟았습니다.
휴대폰 가격이 한달새 3~40%씩 올랐고, 그나마 재고도 없습니다.
[휴대폰 대리점 직원 : "삼성(휴대폰은) 다 팔렸어요. 재고가 없어요. (언제부터요?) 2-3주 전부터. (아이폰은 가격이 얼마예요?) 396,000루피(150만 원 정도)요. (한 달 전에는 얼마였어요?) 290,000루피(107만 원 정도)요."]
나라빚을 갚을 달러도 부족합니다.
정부는 달러 유출을 막기위해 석유 등의 수입 제한조치를 내렸고, 그러자 기름값이 급등했습니다. 물량도 턱없이 부족합니다.
[뚝뚝이 기사 : "1시 40분에 왔어요. (지금 4시인데 오늘 기름 넣을 수 있을 것 같아요?) 가까이 가봐야 알아요."]
석유가 없으니 전기공급도 쉽지 않습니다.
전기가 자주 끊기다보니 문을 닫는 상점들이 늘어납니다.
경제는 사실상 붕괴 직전입니다.
[신임 스리랑카 총리 : "오늘로 석유 재고량이 하루치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은 거의 모든 가난한 나라의 에너지 요금 폭등을 불러왔습니다.
라오스 수도 비엔티안.
역시 오토바이에 기름 한번 넣기가 쉽지 않습니다.
["다시 와야할 것 같아요. 차라리 그냥 포기하는게 나을 것 같아요."]
기름값이 급등하자 태국에선 트럭이나 버스에서 기름을 훔쳐가는 도둑들이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태국 정부는 특히 식료품 물가를 잡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식료품 공급 트럭 수십여 개를 급조해 주택가에 임시 상점을 차렸습니다.
달걀이나 식용유처럼 최근 가격이 급등한 식료품들을 싸게 판매합니다.
[뜨라빠윳 창탄/공무원 : "달걀하고 식물성기름, 설탕, 쌀이 제일 잘 팔립니다. (쌀은 가격이?) 쌀은 보통 145바트인데 저희는 120바트에 팝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 압력은 더 거세지고 있습니다.
태국 정부는 지난 2월부터 우유와 달걀 돼지고기 등 18개 품목의 가격을 규제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지정한 가격보다 더 비싼 값에 달걀을 팔다 적발된 상점 주인이 서럽게 웁니다.
[상점 주인 : "됐어요. 안 팔면 되잖아요. (불법은 아니예요.) 이건 정말 너무하는 거예요."]
이집트에선 밀수입이 줄면서 주식인 빵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정부가 보조금을 늘리고 있지만 이미 수십만 명이 기아에 직면했습니다.
한때 세계 최대 소\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468296\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인플레이션 #저개발국가 #스리랑카
인생2회차 : 기름 밀가루 등 들어가는 맛있는 음식 지금 먹어둬야지 한국도 언제 확 심해질지 ㄷㄷ
인생2회차 : 세상이 저래도 침대에 누워 유튜브 볼수 있는 한국..돈만 있으면 진짜 살기 좋은 나라
U. Y. Yeo : 가난한 나라, 가난한 서민들이 더 힘든 세상이다. 마음이라도 서로 나눌수 있는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다.
제네시스 : 우리나라의 97년 아이엠에프네ㄷㄷ
eun sook kang : 저런나라는 지원금을 주지 않았는데도 물가가 오르네요.. 그러니 울나라 지원금 줘서 물가가 올랐다고 하는건 그전 정부에 대한 정부실책이라고 언론 플레이 한것.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