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기업
페이지 정보
본문
실적 희망은 스마트폰뿐…갤럭시S23 조기 출시/[기업&이슈]/한국경제TV뉴스
기업들의 요즘 이슈와 뒷이야기들을 알아보는 '기업\u0026이슈' 시간입니다. 산업부 정재홍 기자와 함께하겠습니다.
#스마트폰 #삼성전자 #갤럭시S23
[기사원문보기]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211080121
△대한민국의 경제를 보세요!
△구독과 좋아요 그리고 알람설정하세요!
#한국경제TV뉴스 #뉴스플러스 #경제 #투자 #한경
△'한국경제TV 뉴스' 유튜브 구독
https://bit.ly/3nlLPEu
수까수까 : 2025년쯤 타깃으로 갤럭시 전용 엑시노스 칩 개발중이라 알고 있는데 OS 자체를 독립하지 못하는 이상 하드웨어 최적화 만으로는 한계가 있긴 있을겁니다.. 다만 적어도 발열과 성능 둘다 잡는다면 확실히 시장에서 선장할수 있는 계기는 되겠죠
Popeye : 엑시노스는 보급형에 쓰고 하이엔드 제품에는 퀄컴이라도 써서 애플과 적절한 경쟁관계를 유지해야 합니다.
@user-ky5lc5et8u : S23이 벤치 싱글 점수가 최하 1500 이상은 나오고 발열도 잡혀야 애플보다 70%정도 가격으로 판매가 가능할듯.
@user-ss1np3df6x : S23 싱글 1500점대
멀티 4500점대 입니다.
그리고 전성비에서 8gen2는 엄청난 개선이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발열은 tsmc이후로 해결됨.
인생갱생 : 삼성에 엑시노스랑 파운드리가 있어도 정작 자사 제품의 설계는 퀄컴이 하고 생산은 TSMC가 하는 상황에서 삼성은 납품만 받는 게 안타깝네요...
LG 스마트폰 철수 ? 우리나라 기업 노리는 '베트남의 삼성' / [오목교 전자상가 EP.23] 스브스뉴스
LG 스마트폰 사업부에 운명의 순간이 다가왔습니다. 매각될 수 있다는 소문이 곳곳에서 들리는 것을 넘어, 이제는 소문을 넘어 구체적인 매각 협상 기업 리스트까지 돌아다니는 형편이죠. 그런데 이 매각 협상 기업 리스트의 면면을 찾아보면 우리에겐 조금 생소한 기업 하나가 등장합니다. 바로 '빈 그룹'이죠.
베트남 국적의 이 회사는 마치 우리나라 삼성처럼 수많은 계열사를 가지고 있다고 해서 '베트남의 삼성'이라고 불립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빈 그룹과 삼성은 공통점이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국수입니다. '삼성 상회'란 가게에서 국수를 만들어 파는 것으로 사업을 시작했던 이병철 회장처럼, 이 빈 그룹의 회장인 팜녓브엉도 '탕롱'이란 국수 가게에서 사업을 시작했다고 합니다. 다만 팜 회장은 당시 국수 가게를 고향인 베트남이 아닌 우크라이나에 차렸죠. 그렇다면 왜 팜 회장은 자신의 국수가게를 고향이 아닌 타지에 세우게 됐을까요? (스브스뉴스 오목교 전자상가)에서 LG 인수설이 불거진 '베트남의 삼성' 빈 그룹에 대한 이야기를 모아보았습니다!
\r
\r
✔ 뉴스에는 위아래가 없다, 스브스뉴스\r
\r
- 스브스뉴스 링크 -\r
Facebook : https://www.facebook.com/subusunews\r
Instagram : https://www.instagram.com/subusunews/\r
홈페이지 : http://news.sbs.co.kr/news/subusuNews.do?plink=GNB\u0026cooper=SBSNEWS
오목교 전자상가 : 발칸포로도 잡기 힘든 드론 떼, 이 총 한방이면 해결된다⁉
총구 없는 총의 엄청난 위력
⚡#오목교전자상가 채널에서 확인해 주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Mqm_oPMrTO0&t=4s
foit4 : 제발 구글이 인수해서 구글 픽셀이나 정발해줬으면 좋겠다.
c.챼인 : Lg는 소비자가 원하는거 잘 수용해줬으면ㅜㅠ
ys시리 Kim : LG전자 사랑해!! 제발 위기를 기회로 잘 넘어가길 바랍니다.
Ronaldo : 빈그룹 첨들어보는데 넘신기하당 ㅋㅋ 어떻게 저렇게 성장한건지 신기하네요
스마트폰 접은 LG 근황. 이제 000 회사가 됐습니다?! / 오목교 전자상가 [EP.86]
LG 전자는 2021년 5월 이후 자사의 스마트폰 생산을 중단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1년이 지난 지금, LG는 무엇을 하고 있을까요? 현재 LG전자는 '전기차' 관련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치열하게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차량용 OLED를 개발해 공급하고, 전기차용 모터를 판매하며, 자율주행 관련 기술 축적에도 열을 올리고 있죠. 실제로 집계하는 곳마다 차이가 있긴 하지만 LG전자는 자율주행 관련 특허 출원에서 현대 자동차와 버금가거나 앞서는 정도의 출원 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LG는 이렇게 전기차 관련 기술 개발에 올인하고 있는 걸까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최근 LG전자에서 발표한 콘셉트 모빌리티 '옴니팟'을 찾았습니다. 이 차량에는 현재 LG전자가 그리고 있는 전기차, 그리고 자율주행 시대의 청사진이 그대로 녹아있었는데요,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차량의 '높이'가 2.4m로 상당히 높다는 점이었습니다. 가까운 미래 완전 자율 주행 시대가 온다면 자동차는 단순히 운송 수단이 아닌 '집'이나 '방'의 확장 개념이 될 것이고, 이렇게 될 경우 성인 남성도 허리를 펴고 돌아다닐 수 있을 정도로 차고가 높아야 한다는 거죠. 특히 자동차가 '집'의 확장 개념이 된 만큼 차 내부에 내장된 제품들 역시 단순한 차량 관련 악세서리라기보다 '가전제품'에 가까운 기기들이 많았습니다. LG가 만든 전기차, 옴니팟에 들어간 각종 '가전제품'들의 모습을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0:00 인트로
00:14 희한하게 생긴 자동차의 정체는?
00:38 사실 이건 미래의 집입니다
00:53 LG가 자동차를 '집의 확장'으로 내다보는 이유
01:53 이 '자동차'에는 어떤 기능이 있을까?
02:56 이미 자동차는 컴퓨터가 되어가고 있다
03:27 옴니팟에 들어간 LG의 가전제품들
04:07 사실 LG는 언제든 만들 수 있었다
06:11 그럼에도 전기차를 만들지 않는 이유
06:57 결론
오목교 전자상가 : 0:00 인트로
00:14 희한하게 생긴 자동차의 정체는?
00:38 사실 이건 미래의 집입니다
00:53 LG가 자동차를 '집의 확장'으로 내다보는 이유
01:53 이 '자동차'에는 어떤 기능이 있을까?
02:56 이미 자동차는 컴퓨터가 되어가고 있다
03:27 옴니팟에 들어간 LG의 가전제품들
04:07 사실 LG는 언제든 만들 수 있었다
06:11 그럼에도 전기차를 만들지 않는 이유
06:57 결론
댕댕이 : 삼성은 lg를 경쟁자로써 인식조차 못했을지 모르나 LG가 딱 사라지자마자 갤럭시 원가절감 들어가고 품질 개판된거보면 역시 독과점은 좋은게 없다..
Happy Day : 결국은 lg도 완성 전기차로 뛰어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지금은 부품 공급사지만 자율주행 5단계 실현될때 lg가 생각한 집같은 차 옴니팟을 만들어야 미래에 대한 사업에 한단계 나아갈수있다고 생각합니다.
크아아 : 이야.... lg 아이디어가 엄청나다 대단해 시제품까지 저렇게 선보이다니... 백색가전 1위 기업답게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미래에 대비하는 모습이 멋지네 ㅎㅎㅎ 스마트폰때 대비하지 않아서 망한거에 큰 교훈을 얻었나보네 ㅋㅋ
브레인연구소 : LG 진짜 잘 됐으면 좋겠다
기업들의 요즘 이슈와 뒷이야기들을 알아보는 '기업\u0026이슈' 시간입니다. 산업부 정재홍 기자와 함께하겠습니다.
#스마트폰 #삼성전자 #갤럭시S23
[기사원문보기]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211080121
△대한민국의 경제를 보세요!
△구독과 좋아요 그리고 알람설정하세요!
#한국경제TV뉴스 #뉴스플러스 #경제 #투자 #한경
△'한국경제TV 뉴스' 유튜브 구독
https://bit.ly/3nlLPEu
수까수까 : 2025년쯤 타깃으로 갤럭시 전용 엑시노스 칩 개발중이라 알고 있는데 OS 자체를 독립하지 못하는 이상 하드웨어 최적화 만으로는 한계가 있긴 있을겁니다.. 다만 적어도 발열과 성능 둘다 잡는다면 확실히 시장에서 선장할수 있는 계기는 되겠죠
Popeye : 엑시노스는 보급형에 쓰고 하이엔드 제품에는 퀄컴이라도 써서 애플과 적절한 경쟁관계를 유지해야 합니다.
@user-ky5lc5et8u : S23이 벤치 싱글 점수가 최하 1500 이상은 나오고 발열도 잡혀야 애플보다 70%정도 가격으로 판매가 가능할듯.
@user-ss1np3df6x : S23 싱글 1500점대
멀티 4500점대 입니다.
그리고 전성비에서 8gen2는 엄청난 개선이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발열은 tsmc이후로 해결됨.
인생갱생 : 삼성에 엑시노스랑 파운드리가 있어도 정작 자사 제품의 설계는 퀄컴이 하고 생산은 TSMC가 하는 상황에서 삼성은 납품만 받는 게 안타깝네요...
LG 스마트폰 철수 ? 우리나라 기업 노리는 '베트남의 삼성' / [오목교 전자상가 EP.23] 스브스뉴스
LG 스마트폰 사업부에 운명의 순간이 다가왔습니다. 매각될 수 있다는 소문이 곳곳에서 들리는 것을 넘어, 이제는 소문을 넘어 구체적인 매각 협상 기업 리스트까지 돌아다니는 형편이죠. 그런데 이 매각 협상 기업 리스트의 면면을 찾아보면 우리에겐 조금 생소한 기업 하나가 등장합니다. 바로 '빈 그룹'이죠.
베트남 국적의 이 회사는 마치 우리나라 삼성처럼 수많은 계열사를 가지고 있다고 해서 '베트남의 삼성'이라고 불립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빈 그룹과 삼성은 공통점이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국수입니다. '삼성 상회'란 가게에서 국수를 만들어 파는 것으로 사업을 시작했던 이병철 회장처럼, 이 빈 그룹의 회장인 팜녓브엉도 '탕롱'이란 국수 가게에서 사업을 시작했다고 합니다. 다만 팜 회장은 당시 국수 가게를 고향인 베트남이 아닌 우크라이나에 차렸죠. 그렇다면 왜 팜 회장은 자신의 국수가게를 고향이 아닌 타지에 세우게 됐을까요? (스브스뉴스 오목교 전자상가)에서 LG 인수설이 불거진 '베트남의 삼성' 빈 그룹에 대한 이야기를 모아보았습니다!
\r
\r
✔ 뉴스에는 위아래가 없다, 스브스뉴스\r
\r
- 스브스뉴스 링크 -\r
Facebook : https://www.facebook.com/subusunews\r
Instagram : https://www.instagram.com/subusunews/\r
홈페이지 : http://news.sbs.co.kr/news/subusuNews.do?plink=GNB\u0026cooper=SBSNEWS
오목교 전자상가 : 발칸포로도 잡기 힘든 드론 떼, 이 총 한방이면 해결된다⁉
총구 없는 총의 엄청난 위력
⚡#오목교전자상가 채널에서 확인해 주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Mqm_oPMrTO0&t=4s
foit4 : 제발 구글이 인수해서 구글 픽셀이나 정발해줬으면 좋겠다.
c.챼인 : Lg는 소비자가 원하는거 잘 수용해줬으면ㅜㅠ
ys시리 Kim : LG전자 사랑해!! 제발 위기를 기회로 잘 넘어가길 바랍니다.
Ronaldo : 빈그룹 첨들어보는데 넘신기하당 ㅋㅋ 어떻게 저렇게 성장한건지 신기하네요
스마트폰 접은 LG 근황. 이제 000 회사가 됐습니다?! / 오목교 전자상가 [EP.86]
LG 전자는 2021년 5월 이후 자사의 스마트폰 생산을 중단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1년이 지난 지금, LG는 무엇을 하고 있을까요? 현재 LG전자는 '전기차' 관련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치열하게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차량용 OLED를 개발해 공급하고, 전기차용 모터를 판매하며, 자율주행 관련 기술 축적에도 열을 올리고 있죠. 실제로 집계하는 곳마다 차이가 있긴 하지만 LG전자는 자율주행 관련 특허 출원에서 현대 자동차와 버금가거나 앞서는 정도의 출원 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LG는 이렇게 전기차 관련 기술 개발에 올인하고 있는 걸까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최근 LG전자에서 발표한 콘셉트 모빌리티 '옴니팟'을 찾았습니다. 이 차량에는 현재 LG전자가 그리고 있는 전기차, 그리고 자율주행 시대의 청사진이 그대로 녹아있었는데요,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차량의 '높이'가 2.4m로 상당히 높다는 점이었습니다. 가까운 미래 완전 자율 주행 시대가 온다면 자동차는 단순히 운송 수단이 아닌 '집'이나 '방'의 확장 개념이 될 것이고, 이렇게 될 경우 성인 남성도 허리를 펴고 돌아다닐 수 있을 정도로 차고가 높아야 한다는 거죠. 특히 자동차가 '집'의 확장 개념이 된 만큼 차 내부에 내장된 제품들 역시 단순한 차량 관련 악세서리라기보다 '가전제품'에 가까운 기기들이 많았습니다. LG가 만든 전기차, 옴니팟에 들어간 각종 '가전제품'들의 모습을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0:00 인트로
00:14 희한하게 생긴 자동차의 정체는?
00:38 사실 이건 미래의 집입니다
00:53 LG가 자동차를 '집의 확장'으로 내다보는 이유
01:53 이 '자동차'에는 어떤 기능이 있을까?
02:56 이미 자동차는 컴퓨터가 되어가고 있다
03:27 옴니팟에 들어간 LG의 가전제품들
04:07 사실 LG는 언제든 만들 수 있었다
06:11 그럼에도 전기차를 만들지 않는 이유
06:57 결론
오목교 전자상가 : 0:00 인트로
00:14 희한하게 생긴 자동차의 정체는?
00:38 사실 이건 미래의 집입니다
00:53 LG가 자동차를 '집의 확장'으로 내다보는 이유
01:53 이 '자동차'에는 어떤 기능이 있을까?
02:56 이미 자동차는 컴퓨터가 되어가고 있다
03:27 옴니팟에 들어간 LG의 가전제품들
04:07 사실 LG는 언제든 만들 수 있었다
06:11 그럼에도 전기차를 만들지 않는 이유
06:57 결론
댕댕이 : 삼성은 lg를 경쟁자로써 인식조차 못했을지 모르나 LG가 딱 사라지자마자 갤럭시 원가절감 들어가고 품질 개판된거보면 역시 독과점은 좋은게 없다..
Happy Day : 결국은 lg도 완성 전기차로 뛰어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지금은 부품 공급사지만 자율주행 5단계 실현될때 lg가 생각한 집같은 차 옴니팟을 만들어야 미래에 대한 사업에 한단계 나아갈수있다고 생각합니다.
크아아 : 이야.... lg 아이디어가 엄청나다 대단해 시제품까지 저렇게 선보이다니... 백색가전 1위 기업답게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미래에 대비하는 모습이 멋지네 ㅎㅎㅎ 스마트폰때 대비하지 않아서 망한거에 큰 교훈을 얻었나보네 ㅋㅋ
브레인연구소 : LG 진짜 잘 됐으면 좋겠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