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지형콘센트
페이지 정보
본문
접지형 콘센트 플러그에 대해 알아볼까요!?
따라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접지형 콘센트플러그 사용법!
-접지형콘센트플러그-ㄱ자형
http://www.sonjabee.com/goods/content.asp?num=260531
-접지형콘센트플러그-일자형
http://www.sonjabee.com/goods/content.asp?num=260530
손잡이닷컴의 DIY cast를 구독하시면 DIY의 다양한 제품과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DIY cast 채널 구독하기: https://www.youtube.com/sonjabee3?sub_confirmation=1
손잡이닷컴의 다양한 이벤트와 정보를 페이스북에서 만나보세요!
◆손잡이닷컴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DIYsonjabee
@user-cp2tr3ye7u : 실생활에 꼭 필요한 강의 캄사합니다...^^
@user-lt3bo7fb9g : 감사합니다 ^^ 오늘 긴장하며 해봤는데 성공했네요 ㅋㅋ 기쁘네요 기계치라 기쁨이 더욱 넘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하며 저도 남을 위한 일 찾아서라도 해야겠네요 ^^ 감사요
@ing7365 : 최고 덕분에 쉽게 했어요~
@Spartan-kv7zp : 에어컨 플러그 고칠 때 많은 도움이 됬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ti8vh6cw9l : 이 동영상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접지 플러그와 비접지(무접지) 플러그의 차이
이 영상은 소망 김기사 전기실무 강의 예행 연습 영상입니다. 무대본으로 바로 만든 영상이라 매우 허접합니다.
접지 플러그와 비접지(무접지) 플러그의 차이를 사물궁이님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영상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난생 처음으로 영상강의라는 것을 가게에서 연습삼아 찍어보았으니 저퀄리티에 뭔가 어수선해도 이해해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접지에 관한 소개글 : https://blog.naver.com/somang8991/221368215485
@user-bb9xx7yq3u : 이 영상보러오신분들이 접지플러그와 비접지플러그의 생김새가 궁금해서 온게 아닐꺼 같습니다.
안전관련 접지와 비접지의 실질적인 차이를 설명해주시면 더 좋았겠네요
@user-pr7zr5go1q : 유용한 정보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kkhisa3044 : 예를들어 전기난로에는 접지선이 자체적으로 들어가있습니다.멀티선도 들어가있는데 그런데 말입니다 만약 멀티선을 안쓰고 두가닥 선만 만들어놓은것이라면 전기난로는 접지역할을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whitemoneygim1033 :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2선으로만 연결하고 접지선 연결을 안하면 무슨문제가 있을까요?
@user-kb2by5hn8x : 무접지플러그에 저기삼선사용가능한가요?
[내가 하지뭐] 직접 접지 콘센트로 교체했다 2탄, 접지선이 없길래 만들어 넣었다.
영상 음악 작업 할려고 구한 집에 접지 콘센트가 없다.
그래서 접지 콘센트로 바꿀려고 했더니 '접지 선' 자체가 없다.
그런데 분전함에는 접지가 들어온다. 게다가 보일러실 콘센트는 접지 콘센트인 것을 발견!
그래서 직접 접지선 사서 깔았습니다.
(저도 초보입니다. 제 영상으로 전기 작업을 배우려고 하면 안됩니다. 참고만 해주세요)
@LionelMessi-ds4tk : 댓글보면 초면에 굉장히 무례한 사람들이 있네요. 영상 제작하신 분도 스스로 초보라 밝혔고 참고만 하고 배우진 말라고 미리 말했습니다. 전기 일 오래 하신 사람들 입장에서 잘못된 부분을 알려주는 건 좋은거지만 아무리 온라인이라 해도 초면에 그런 식으로 무례하게 구는 건 반성 좀 하세요. 본인은 무슨 그리 대단한 일을 한다고 사람을 그렇게 무시하고 모욕합니까? 사회에 나가면 똑같이 약자의 입장이고 힘들게 일 하는 사람들끼리 왜 그럽니까? 세상에 널리고 널린게 전기쟁이들인데 그런다고 하나도 대단해 보이지 않아요. 서로 좀 돕고 용기를 주는게 그리도 어렵습니까?
@crislight1374 : 접지선 그냥 찾아서 넣으신거 너무 신기해요--- 저도 집이 구옥이고 접지없어서 그냥 햇는데 저런? 대단한 방법도 있군요... 대단
@STARGATE_SGC : 전선이 4개인데 하나는 전기가 들어오는 활성선, 하나는 안 들어오는 중성선, 두개는 접지선인데 활성선과 중성선을 멀티테스트기로 찾아서 좌우로 맞춰서 꽂아줘야 합니다. 그리고, 접지선이 두개인 이유는 하나의 접지선은 그야 말로 구리로 만든 접지말뚝에다 연결을 해주고 나머지 하나는 계통접지(다른 콘센트)에 접지연결을 하는 겁니다.
@user-im1lm2ih2d : 요비선 없이 기존 매설된 전선을 이용하는 법도 있죠. 저도 옛날에 전화단자함에 요비선 없이 전화선 2회선, 랜선 2회선 어렵게 매설(?)해 본적이 있었죠. 비좁은 전화선에 다 때려 박으려니 며칠간을 씨름했었던게 생각납니다. 워낙 뻑뻑하고 구멍에 꽉차버리니 오도가도 못할 정도로 꽉 막혀서.. 조금씩 힘으로 잡아 당겨 뽑아냈다는...
한 번은 다른 방에서도 매설 시도하려고 빨래줄까지 이용하다 사고난 적도 있습니다. 전선이 중간까지 오다가 그만 끊어진 져버린거... 그 질긴 빨래줄이 아무래도 다른 쪽 매설중 많이 쓸려 약해졌었던건지..
중간에 전선이 머물러 있으니 길을 인도할 전선자체도 없어져 버린거..(몽땅 빼 버리고 빨래줄만이 유일한 희망이었는데..)
작은 방과 부엌쪽 회선이었죠.
나일론 실 끝에다 스티로폼을 매달아 입구에 대고 진공청소기로 반대편에서 빨아 들이니 사정없이 실이 빨려들어가긴 하는데 반대쪽으로 나올 생각은 안하더군요. 하루종일 삽질하다 혹시나 하고 전선 갈고리 모양으로 구부려 집어 넣는데까지 집어 넣았다가 빼내니 거기에 실뭉치가 걸려서 나오더군요. ㅋㅋㅋ
일단 개통은 성공.. 다시 나일론실에 빨래줄 연결해서 재 개통 했었던게 생각 나네요. 그 다음부턴 끊어지지 않도록 더욱 조심히 잡아 당겼죠.
@user-qv4zd1rs2k : 옛날에 지어진 집들은 건축법상 접지 기준이 없었습니다. 1990년대 초반에 지어진 집들에는 220v 컨센트와 110v 컨센트가 혼재합니다. 그중 110v 컨센트에는 접지가 없고, 220v컨센트에만 접지가 있기도 , 없기도 합니다.
그 후 각종 리모델링을 하면서 110v컨센트를 220v로 바꾸면서 접지선을 설치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배전판을 뜯어서 접지라인이 따로 매설되었는지 아니면 단순히 벽 콘크리트에 박히는 방식인지도 확인해 보세요.
후자인 경우라면 접지효율이 많이 낮습니다.
접지선을 녹색선으로...
아래를 참고하세요
2020.01.01 이후 한국 전기설비규정/현행 국제표준규정
3상
-RST상 : 갈색, 검정, 회색
-중성선 : 청색
-접지 : 녹색, 녹+노랑
단상
-전원선 :갈색
-중성선 : 청색
-접지선: 녹색 또는 녹+노랑
입니다.
따라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접지형 콘센트플러그 사용법!
-접지형콘센트플러그-ㄱ자형
http://www.sonjabee.com/goods/content.asp?num=260531
-접지형콘센트플러그-일자형
http://www.sonjabee.com/goods/content.asp?num=260530
손잡이닷컴의 DIY cast를 구독하시면 DIY의 다양한 제품과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DIY cast 채널 구독하기: https://www.youtube.com/sonjabee3?sub_confirmation=1
손잡이닷컴의 다양한 이벤트와 정보를 페이스북에서 만나보세요!
◆손잡이닷컴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DIYsonjabee
@user-cp2tr3ye7u : 실생활에 꼭 필요한 강의 캄사합니다...^^
@user-lt3bo7fb9g : 감사합니다 ^^ 오늘 긴장하며 해봤는데 성공했네요 ㅋㅋ 기쁘네요 기계치라 기쁨이 더욱 넘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하며 저도 남을 위한 일 찾아서라도 해야겠네요 ^^ 감사요
@ing7365 : 최고 덕분에 쉽게 했어요~
@Spartan-kv7zp : 에어컨 플러그 고칠 때 많은 도움이 됬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ti8vh6cw9l : 이 동영상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접지 플러그와 비접지(무접지) 플러그의 차이
이 영상은 소망 김기사 전기실무 강의 예행 연습 영상입니다. 무대본으로 바로 만든 영상이라 매우 허접합니다.
접지 플러그와 비접지(무접지) 플러그의 차이를 사물궁이님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영상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난생 처음으로 영상강의라는 것을 가게에서 연습삼아 찍어보았으니 저퀄리티에 뭔가 어수선해도 이해해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접지에 관한 소개글 : https://blog.naver.com/somang8991/221368215485
@user-bb9xx7yq3u : 이 영상보러오신분들이 접지플러그와 비접지플러그의 생김새가 궁금해서 온게 아닐꺼 같습니다.
안전관련 접지와 비접지의 실질적인 차이를 설명해주시면 더 좋았겠네요
@user-pr7zr5go1q : 유용한 정보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kkhisa3044 : 예를들어 전기난로에는 접지선이 자체적으로 들어가있습니다.멀티선도 들어가있는데 그런데 말입니다 만약 멀티선을 안쓰고 두가닥 선만 만들어놓은것이라면 전기난로는 접지역할을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whitemoneygim1033 :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2선으로만 연결하고 접지선 연결을 안하면 무슨문제가 있을까요?
@user-kb2by5hn8x : 무접지플러그에 저기삼선사용가능한가요?
[내가 하지뭐] 직접 접지 콘센트로 교체했다 2탄, 접지선이 없길래 만들어 넣었다.
영상 음악 작업 할려고 구한 집에 접지 콘센트가 없다.
그래서 접지 콘센트로 바꿀려고 했더니 '접지 선' 자체가 없다.
그런데 분전함에는 접지가 들어온다. 게다가 보일러실 콘센트는 접지 콘센트인 것을 발견!
그래서 직접 접지선 사서 깔았습니다.
(저도 초보입니다. 제 영상으로 전기 작업을 배우려고 하면 안됩니다. 참고만 해주세요)
@LionelMessi-ds4tk : 댓글보면 초면에 굉장히 무례한 사람들이 있네요. 영상 제작하신 분도 스스로 초보라 밝혔고 참고만 하고 배우진 말라고 미리 말했습니다. 전기 일 오래 하신 사람들 입장에서 잘못된 부분을 알려주는 건 좋은거지만 아무리 온라인이라 해도 초면에 그런 식으로 무례하게 구는 건 반성 좀 하세요. 본인은 무슨 그리 대단한 일을 한다고 사람을 그렇게 무시하고 모욕합니까? 사회에 나가면 똑같이 약자의 입장이고 힘들게 일 하는 사람들끼리 왜 그럽니까? 세상에 널리고 널린게 전기쟁이들인데 그런다고 하나도 대단해 보이지 않아요. 서로 좀 돕고 용기를 주는게 그리도 어렵습니까?
@crislight1374 : 접지선 그냥 찾아서 넣으신거 너무 신기해요--- 저도 집이 구옥이고 접지없어서 그냥 햇는데 저런? 대단한 방법도 있군요... 대단
@STARGATE_SGC : 전선이 4개인데 하나는 전기가 들어오는 활성선, 하나는 안 들어오는 중성선, 두개는 접지선인데 활성선과 중성선을 멀티테스트기로 찾아서 좌우로 맞춰서 꽂아줘야 합니다. 그리고, 접지선이 두개인 이유는 하나의 접지선은 그야 말로 구리로 만든 접지말뚝에다 연결을 해주고 나머지 하나는 계통접지(다른 콘센트)에 접지연결을 하는 겁니다.
@user-im1lm2ih2d : 요비선 없이 기존 매설된 전선을 이용하는 법도 있죠. 저도 옛날에 전화단자함에 요비선 없이 전화선 2회선, 랜선 2회선 어렵게 매설(?)해 본적이 있었죠. 비좁은 전화선에 다 때려 박으려니 며칠간을 씨름했었던게 생각납니다. 워낙 뻑뻑하고 구멍에 꽉차버리니 오도가도 못할 정도로 꽉 막혀서.. 조금씩 힘으로 잡아 당겨 뽑아냈다는...
한 번은 다른 방에서도 매설 시도하려고 빨래줄까지 이용하다 사고난 적도 있습니다. 전선이 중간까지 오다가 그만 끊어진 져버린거... 그 질긴 빨래줄이 아무래도 다른 쪽 매설중 많이 쓸려 약해졌었던건지..
중간에 전선이 머물러 있으니 길을 인도할 전선자체도 없어져 버린거..(몽땅 빼 버리고 빨래줄만이 유일한 희망이었는데..)
작은 방과 부엌쪽 회선이었죠.
나일론 실 끝에다 스티로폼을 매달아 입구에 대고 진공청소기로 반대편에서 빨아 들이니 사정없이 실이 빨려들어가긴 하는데 반대쪽으로 나올 생각은 안하더군요. 하루종일 삽질하다 혹시나 하고 전선 갈고리 모양으로 구부려 집어 넣는데까지 집어 넣았다가 빼내니 거기에 실뭉치가 걸려서 나오더군요. ㅋㅋㅋ
일단 개통은 성공.. 다시 나일론실에 빨래줄 연결해서 재 개통 했었던게 생각 나네요. 그 다음부턴 끊어지지 않도록 더욱 조심히 잡아 당겼죠.
@user-qv4zd1rs2k : 옛날에 지어진 집들은 건축법상 접지 기준이 없었습니다. 1990년대 초반에 지어진 집들에는 220v 컨센트와 110v 컨센트가 혼재합니다. 그중 110v 컨센트에는 접지가 없고, 220v컨센트에만 접지가 있기도 , 없기도 합니다.
그 후 각종 리모델링을 하면서 110v컨센트를 220v로 바꾸면서 접지선을 설치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배전판을 뜯어서 접지라인이 따로 매설되었는지 아니면 단순히 벽 콘크리트에 박히는 방식인지도 확인해 보세요.
후자인 경우라면 접지효율이 많이 낮습니다.
접지선을 녹색선으로...
아래를 참고하세요
2020.01.01 이후 한국 전기설비규정/현행 국제표준규정
3상
-RST상 : 갈색, 검정, 회색
-중성선 : 청색
-접지 : 녹색, 녹+노랑
단상
-전원선 :갈색
-중성선 : 청색
-접지선: 녹색 또는 녹+노랑
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