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용 운전 기사
페이지 정보
본문
“나는 수행 운전기사 입니다”
프롤로그
녹취 (김만식 몽고식품 전 명예회장 수행기사/음성변조) : "라이터로 때릴 때도 있고 주먹으로 때리고 보이는 데를 다 때립니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다 때립니다. 매일입니다. 매일."
녹취 김○○(현직 수행기사/음성변조) : "(돈 심부름 할 때) 차를 옆에 붙인 다음 창문만 열고서 돈을 던져 주고 그렇기 때문에 CCTV 이런 덴 안나오죠."
녹취 이○○(현직 수행기사/음성변조) : "회장님 오래 모셨던 분들은 사장단도 함부로 못해요. 오히려 명절날 선물 갖다주고 돈 갖다주고..."
녹취 이○○(현직 수행기사/음성변조) : "수행기사를 쓰는 사람들은 어쨋든 갑이고, 우리는 을이고... 내 식구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요?"
기자 오프닝
회장님들의 잇따른 '갑질·폭행 논란'으로 이들을 수행하는 운전 기사에 대한 관심이 커졌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운전기사를 둔다는 것은 그만한 부와 지위를 가졌는 말일텐데요.
이들을 가장 가까운 곳에서 지켜볼 수 있는 또 한 명의 특별한 사람.
하지만 일반인에겐 베일에 가려진 수행기사들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왔습니다.
리포트
사람들이 분주하게 오가는 기차역에서 목포의 한 병원장 차를 모는 수행기사 최동희 씨를 만났습니다.
혼자 차를 몰고 목포에서 올라 와 KTX를 타고 오는 병원장을 기다리는 중입니다.
인터뷰 최동희(수행기사) : "거리가 멀어서 3시간 정도 먼저 왔습니다. 먼저 와서 대기중에 있습니다."
최 씨는 한 주에 두어 번은 왕복 700킬로미터가 넘는 서울 출장길에 오릅니다.
녹취 "(어, 몇 시에 도착했어?) 네. 한 3시 반에 도착했습니다. (고생했다.)"
이동 사이 사이는 기약없는 대기 시간.
인터뷰 최동희(수행기사) : "원장님이 언제 나오실지 모르니까요. TV보거나 거의 잠을 잡니다. 시간도 정해진 것이 아니고 갑자기 전화가 오니까."
식사는 혼자 먹어야 할 때가 많습니다.
인터뷰 최동희(수행기사) : "보통 혼자먹어요. 이렇게 나오면 근처나 식당이나 그런데 가서 혼자 먹지, 혼자 먹습니다."
수행기사 일을 시작한 지 5년 째.
이전에는 15년 동안 구급차를 운전했습니다.
인터뷰 최동희(수행기사) : "(구급차 할 때는) 3분, 4분 만에 가거든요. 그만큼 목숨걸고 달려요. 구급차는 그만큼 목적이 있어서 가는데 원장님 수행하는 것은 병원 들어와서 처음 해봤는데 좀 힘이 들더라고요. 매스컴 보면 갑을 관계네. 갑이네 뭐 따지고 그러는데 우리 원장님은 그런게 없는데도 너무 힘드네요."
서울에서의 마지막 일정은 밤 10시.
4시간 남짓 기다림 끝에 전화벨이 울립니다.
녹취 "예 원장님 지금 출발하겠습니다."
인터뷰 최동희(수행기사) : "(이제 어디로 가세요?) 이제 끝났으니까 (다시) 목포로 갑니다. (운전은 그럼 밤새 하시는 것에요?) 네."
장시간 운전에 한 없이 이어지는 대기 시간.
예측하기 힘든 야근과 휴일 근무.
하지만 수행기사들을 힘들 게 하는 것은 정작 다른 데 있다고 기사들은 말합니다.
녹취 김○○(현직 수행기사/음성변조) : "직원으로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그러니까 하나의 몸종 이렇게."
수행기사 사이에서는 자신이 모시는 회장님, 사장님을 가리켜 대장이라고 부릅니다.
어떤 대장을 만나느냐에 따라 수행기사 일의 성격도 천차만별로 바뀝니다.
녹취 이○○(현직 수행기사/음성변조) : "대장, 모시는 분이 어떻냐에 따라서 우리 일 자체가 너무 많이 차이가 나니까요."
수행기사들은 대장을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합니다.
가장 흔한 건 속칭 '리모콘 형'
운전할 때 이래라 저래라 꼬치꼬치 주문을 하는 유형입니다.
녹취 이○○(현직 수행기사/음성변조) : "대장님들이 뭐가 문제냐면 뒤에서 리모컨 질을 하세요."
녹취 (재연) : "야~ 이쪽 이쪽 저쪽 저쪽."
녹취 "좌회전을 해라 우회전을 해라 어디를 끼고 돌아라 이래야 되는데 이쪽,이쪽, 저쪽,저쪽
@user-pl1dx1mq8l : 수행기사란 한마디로 또하나의 집사인 셈이지
@user-jg4wg3ty5r : 지들 안전하게 이동시키는데 갑질 하는 것들은 진짜 뭐냐.
@user-yo1li1bv4i : 어이~~~
천천히.빨리~~~? 어떡하라는거야
@ooo-jx1xp : 의외로 있는놈들이 돈 많이 찔러주는거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렇지도 않습니다 짠돌이회장 엄청 많습니다
@ysj4034 : 수행비서도 나름 자부심갖고 하시는 분 많아여~연봉도 괜찮게받고 임하시는 분 많습니다~~~~
골프장 운전기사의 하루
대리기사의 일상 브이로그 vlog 입니다.
#일상 #브이로그 #대리기사
@kingofdriver :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백수의 하루 -
@user-fh6ey7lh5u : 사모님이 너무 웃음이 많으셔서 보기 좋네요~~ ^ ^
안전운전하세요~
@user-rn1xv2ln3f : 두분 행복한 모습 ❤
@user-pz9cs1vb2o : 너무 쎄게 때리셨다 ㅠㅠ 와이프분 넘 좋으시네요 마음이 바다같네요
@user-vl2uc8rm5b : 일하고 나면 환하게 웃어주는 와이프랑 맛난거 먹는게 행복입니다. 부럽습니다.
"매달 두세 군데씩 폐업하는 실정"…운전 학원 무슨 일 / SBS / 실시간 e뉴스
운전면허를 따기 위해서 운전 학원에 등록하죠.
하지만, 그 운전 학원이 요즘 한산하다는 기사도 많이 봤습니다.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2017년 108만 명이던 운전면허 신규 취득자는 코로나19가 번졌던 2019년부터 2021년까지 107만 명대를 유지하면서 조금씩 줄어들다가 지난해 96만 8천여 명으로 크게 감소했습니다.
올해도 지난 10월까지 집계를 기준으로 보면 전년 대비 약 10% 줄어들 전망입니다.
이렇게 운전면허를 따려는 사람이 줄어든 것은, 인구 감소 여파로 분석됩니다.
전국자동차운전전문학원연합회 관계자는 '매달 두세 군데씩 폐업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인구가 줄어드는 지방을 중심으로 폐업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업계에서는 그나마 코로나19 시기에 운전면허 신규 취득자 수가 보합세를 유지했던 이유를 사회적 거리 두기 정책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결국 이런 반짝 수요마저 꺾이면서 늘 붐비던 면허시험장도 대기가 눈에 띄게 줄어든 상황이라고 기사에서는 전했습니다.
(기사 출처 : 한국경제)
☞더 자세한 정보
https://news.sbs.co.kr/y/?id=N1007461483
☞[실시간 e뉴스] 기사 모아보기
https://news.sbs.co.kr/y/t/?id=10000000314
#인구 #면허 #운전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https://premium.sbs.co.kr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bs8news
트위터: https://www.twitter.com/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bsnew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kbbong7 : 따려는사람이없는게아니라 그냥 사람이 없는거지
@vannertime : 인구감소가..진짜 모든곳에서 서서히 문제점이 나타나기 시작하구나..ㅜㅜ
@user-hy5rb1gh6m : 목숨이 달린 건데
가격에 비해
학습기간은 짧고
너무 날로 먹드라
그러니
면허는 면허대로
실전연습은 실전대로
다시 해야하잖아
@Valerian-1000 : 가격이 드릅게 비싸잖아...
@seungjinbaek3703 : 예전에는 당장 운전을 안해도 미리 면허 따놓자는 심리들이 강했는데 요즘은 당장 운전하지도 않을건데 필요하게되면 따자는 쪽으로 바뀌었다는.....
프롤로그
녹취 (김만식 몽고식품 전 명예회장 수행기사/음성변조) : "라이터로 때릴 때도 있고 주먹으로 때리고 보이는 데를 다 때립니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다 때립니다. 매일입니다. 매일."
녹취 김○○(현직 수행기사/음성변조) : "(돈 심부름 할 때) 차를 옆에 붙인 다음 창문만 열고서 돈을 던져 주고 그렇기 때문에 CCTV 이런 덴 안나오죠."
녹취 이○○(현직 수행기사/음성변조) : "회장님 오래 모셨던 분들은 사장단도 함부로 못해요. 오히려 명절날 선물 갖다주고 돈 갖다주고..."
녹취 이○○(현직 수행기사/음성변조) : "수행기사를 쓰는 사람들은 어쨋든 갑이고, 우리는 을이고... 내 식구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요?"
기자 오프닝
회장님들의 잇따른 '갑질·폭행 논란'으로 이들을 수행하는 운전 기사에 대한 관심이 커졌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운전기사를 둔다는 것은 그만한 부와 지위를 가졌는 말일텐데요.
이들을 가장 가까운 곳에서 지켜볼 수 있는 또 한 명의 특별한 사람.
하지만 일반인에겐 베일에 가려진 수행기사들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왔습니다.
리포트
사람들이 분주하게 오가는 기차역에서 목포의 한 병원장 차를 모는 수행기사 최동희 씨를 만났습니다.
혼자 차를 몰고 목포에서 올라 와 KTX를 타고 오는 병원장을 기다리는 중입니다.
인터뷰 최동희(수행기사) : "거리가 멀어서 3시간 정도 먼저 왔습니다. 먼저 와서 대기중에 있습니다."
최 씨는 한 주에 두어 번은 왕복 700킬로미터가 넘는 서울 출장길에 오릅니다.
녹취 "(어, 몇 시에 도착했어?) 네. 한 3시 반에 도착했습니다. (고생했다.)"
이동 사이 사이는 기약없는 대기 시간.
인터뷰 최동희(수행기사) : "원장님이 언제 나오실지 모르니까요. TV보거나 거의 잠을 잡니다. 시간도 정해진 것이 아니고 갑자기 전화가 오니까."
식사는 혼자 먹어야 할 때가 많습니다.
인터뷰 최동희(수행기사) : "보통 혼자먹어요. 이렇게 나오면 근처나 식당이나 그런데 가서 혼자 먹지, 혼자 먹습니다."
수행기사 일을 시작한 지 5년 째.
이전에는 15년 동안 구급차를 운전했습니다.
인터뷰 최동희(수행기사) : "(구급차 할 때는) 3분, 4분 만에 가거든요. 그만큼 목숨걸고 달려요. 구급차는 그만큼 목적이 있어서 가는데 원장님 수행하는 것은 병원 들어와서 처음 해봤는데 좀 힘이 들더라고요. 매스컴 보면 갑을 관계네. 갑이네 뭐 따지고 그러는데 우리 원장님은 그런게 없는데도 너무 힘드네요."
서울에서의 마지막 일정은 밤 10시.
4시간 남짓 기다림 끝에 전화벨이 울립니다.
녹취 "예 원장님 지금 출발하겠습니다."
인터뷰 최동희(수행기사) : "(이제 어디로 가세요?) 이제 끝났으니까 (다시) 목포로 갑니다. (운전은 그럼 밤새 하시는 것에요?) 네."
장시간 운전에 한 없이 이어지는 대기 시간.
예측하기 힘든 야근과 휴일 근무.
하지만 수행기사들을 힘들 게 하는 것은 정작 다른 데 있다고 기사들은 말합니다.
녹취 김○○(현직 수행기사/음성변조) : "직원으로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그러니까 하나의 몸종 이렇게."
수행기사 사이에서는 자신이 모시는 회장님, 사장님을 가리켜 대장이라고 부릅니다.
어떤 대장을 만나느냐에 따라 수행기사 일의 성격도 천차만별로 바뀝니다.
녹취 이○○(현직 수행기사/음성변조) : "대장, 모시는 분이 어떻냐에 따라서 우리 일 자체가 너무 많이 차이가 나니까요."
수행기사들은 대장을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합니다.
가장 흔한 건 속칭 '리모콘 형'
운전할 때 이래라 저래라 꼬치꼬치 주문을 하는 유형입니다.
녹취 이○○(현직 수행기사/음성변조) : "대장님들이 뭐가 문제냐면 뒤에서 리모컨 질을 하세요."
녹취 (재연) : "야~ 이쪽 이쪽 저쪽 저쪽."
녹취 "좌회전을 해라 우회전을 해라 어디를 끼고 돌아라 이래야 되는데 이쪽,이쪽, 저쪽,저쪽
@user-pl1dx1mq8l : 수행기사란 한마디로 또하나의 집사인 셈이지
@user-jg4wg3ty5r : 지들 안전하게 이동시키는데 갑질 하는 것들은 진짜 뭐냐.
@user-yo1li1bv4i : 어이~~~
천천히.빨리~~~? 어떡하라는거야
@ooo-jx1xp : 의외로 있는놈들이 돈 많이 찔러주는거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렇지도 않습니다 짠돌이회장 엄청 많습니다
@ysj4034 : 수행비서도 나름 자부심갖고 하시는 분 많아여~연봉도 괜찮게받고 임하시는 분 많습니다~~~~
골프장 운전기사의 하루
대리기사의 일상 브이로그 vlog 입니다.
#일상 #브이로그 #대리기사
@kingofdriver :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백수의 하루 -
@user-fh6ey7lh5u : 사모님이 너무 웃음이 많으셔서 보기 좋네요~~ ^ ^
안전운전하세요~
@user-rn1xv2ln3f : 두분 행복한 모습 ❤
@user-pz9cs1vb2o : 너무 쎄게 때리셨다 ㅠㅠ 와이프분 넘 좋으시네요 마음이 바다같네요
@user-vl2uc8rm5b : 일하고 나면 환하게 웃어주는 와이프랑 맛난거 먹는게 행복입니다. 부럽습니다.
"매달 두세 군데씩 폐업하는 실정"…운전 학원 무슨 일 / SBS / 실시간 e뉴스
운전면허를 따기 위해서 운전 학원에 등록하죠.
하지만, 그 운전 학원이 요즘 한산하다는 기사도 많이 봤습니다.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2017년 108만 명이던 운전면허 신규 취득자는 코로나19가 번졌던 2019년부터 2021년까지 107만 명대를 유지하면서 조금씩 줄어들다가 지난해 96만 8천여 명으로 크게 감소했습니다.
올해도 지난 10월까지 집계를 기준으로 보면 전년 대비 약 10% 줄어들 전망입니다.
이렇게 운전면허를 따려는 사람이 줄어든 것은, 인구 감소 여파로 분석됩니다.
전국자동차운전전문학원연합회 관계자는 '매달 두세 군데씩 폐업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인구가 줄어드는 지방을 중심으로 폐업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업계에서는 그나마 코로나19 시기에 운전면허 신규 취득자 수가 보합세를 유지했던 이유를 사회적 거리 두기 정책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결국 이런 반짝 수요마저 꺾이면서 늘 붐비던 면허시험장도 대기가 눈에 띄게 줄어든 상황이라고 기사에서는 전했습니다.
(기사 출처 : 한국경제)
☞더 자세한 정보
https://news.sbs.co.kr/y/?id=N1007461483
☞[실시간 e뉴스] 기사 모아보기
https://news.sbs.co.kr/y/t/?id=10000000314
#인구 #면허 #운전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https://premium.sbs.co.kr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bs8news
트위터: https://www.twitter.com/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bsnew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kbbong7 : 따려는사람이없는게아니라 그냥 사람이 없는거지
@vannertime : 인구감소가..진짜 모든곳에서 서서히 문제점이 나타나기 시작하구나..ㅜㅜ
@user-hy5rb1gh6m : 목숨이 달린 건데
가격에 비해
학습기간은 짧고
너무 날로 먹드라
그러니
면허는 면허대로
실전연습은 실전대로
다시 해야하잖아
@Valerian-1000 : 가격이 드릅게 비싸잖아...
@seungjinbaek3703 : 예전에는 당장 운전을 안해도 미리 면허 따놓자는 심리들이 강했는데 요즘은 당장 운전하지도 않을건데 필요하게되면 따자는 쪽으로 바뀌었다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