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미역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떡장사 조회 15회 작성일 2024-04-12 22:40:05 댓글 0

본문

조류가 센 곳에서 자라서 더 맛있는 '울산 돌미역'│미역이 바다의 항암초라 불리는 이유│극한직업│#골라듄다큐

울산광역시 주전마을에서는 자연산 돌미역의 철을 맞아 가장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다. 바다의 불로초라 불리는 미역은 미세먼지 배출에 도움을 준다. 이곳에서 미역 채취는 1년 중 단 석 달 동안만 가능한데, 오전엔 물질을 해 해녀들이 미역을 채취하고, 오후에는 미역을 손질하고 건조한다. 또한, 이 철만 되면 이곳 마을 사람들은 밤잠을 설쳐 가며 작업을 이어가야 한다는데, 상품으로 거듭날 수 있는 미역을 만들기 위해서다. 하루 24시간이 부족한 자연산 미역을 만드는 노동의 현장, 들어가 보자.

✔ 프로그램명 : <극한직업 - 미세먼지를 잡아라! - 도라지부터 미역까지!>
✔ 방송 일자 : 2019.04.03

#골라듄다큐 #극한직업 #도라지 #미나리 #미역 #미세먼지 #폐질환 #폐 #기관지 #호흡기질환 #약초 #산삼 #산행 #심마니 #야생 #자연산 #보양식 #건강

전국 최상품 미역의 채취지! '푸른 미역의 섬, 청등도' (KBS 20150905 방송)

다큐공감 - 푸른 미역의 섬, 청등도 (KBS 20150905 방송)

*청등도 미역이 제일이여
청등도 미역은 진도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알아주는 최상품 미역이다. 말린 미역 20장(한 뭇)에 100만 원을 호가하는 가격에 거래된다. 자연산 돌미역이라고 하나 청등도의 명품 돌미역이 탄생하기까지는 수많은 손길을 거쳐야 한다. 겨울에는 바위에 미역 포자가 잘 붙기 위해 바위에 붙어있는 이끼를 제거하고, 봄볕에 미역이 녹지 않게 바닷물을 뿌려주며 애지중지 키운 미역은 8월 수확 철을 맞는다. 수심이 깊고 물살이 빠른 청정해역에서 자라나 쫄깃한 식감을 자랑하는 청등도 미역을 수확하느라 주민들은 일년 중 가장 바쁜 시간을 보낸다.

*위험요소가 천지인 미역밭
날카로운 바위와 거친 파도가 치는 미역 갱번(미역밭)을 가기 위해서는 스티로품을 엮어 만든 떼배가 필요하다. 일반 어선은 날카로운 바위에 부딪혀 파손될 위험이 크기 때문에 섬 주민들은 손수 이 떼배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청등도 주민들은 깎아 내린 듯한 절벽을 보호 장비 없이 오르내리고 거세게 몰아치는 파도에 맞서 미역을 벤다. 위험한 작업현장이지만 청등도 주민들은 미역을 베기 위해 절벽을 오르고 파도와 맞선다.

*미역으로 하나 된 가족愛
미역 철이 되면 외지에 나가 있는 자식들, 형제들이 섬으로 찾아와 조용한 섬은 사람들로 북적인다. 위험천만한 작업 환경과 잠잘 시간도 없이 일하는 부모님을 돕기 위해 청등도의 자식들은 여름휴가도 반납하고 섬에 들어와 듬직한 일꾼이 되어준다.

*따듯한 나의 보금자리, 청등도
명절 때보다 미역철에 고향을 찾는 자식들이 더 많은 청등도. 청등도 사람들에게 미역은 그만큼 중요한 1년 농사다. 김인석 씨의 딸 김미영 씨는 만삭의 몸으로 청등도를 찾았다. 9월에 출산을 앞뒀지만, 고생하는 부모님 생각에 고향을 찾았다는 미영씨. 그런 딸이 아버지는 마냥 대견하고 고맙다. 가족과 함께 미역 일을 할 수 있어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김인석 씨는 미역 일을 하는 것이 타고난 운명이라고 생각한다.

청등도 섬 주민들에게 미역은 자식과 같은 존재다. 미역은 가족을 하나로 묶는 보물이다. 미역 채취로 누구보다 행복한 날을 보내고 있는 그들의 이야기를 듣는다.

#청등도 #청정미역 #미역

[지금이 딱] 해녀들과 함께하는 영덕 자연산 '돌미역' KBS 210504 방송

꽃다운 청춘을 바다에 바쳐 일궈낸 삶...
한 평생 바다에서 물질하며 자식들 뒷 바라지 해 온 영덕 해녀들의 이야기와

지금이 제철인 영덕 '돌미역'으로 만든
미역 무침과 소고기 미역국, 돌미역 도다리 매운탕까지~

가수 백장미와 함께 만나러 가보시죠~

#자연산돌미역
#백장미
#영덕

... 

#돌미역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704건 302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