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용밧데리
페이지 정보
본문
[단독] '펑펑' 또 군용전지 폭발...대책은 지지부진 / YTN
[앵커]
YTN은 지난 4월 비 내린 날 폭발 사고가 빈발한 군용 리튬 1차 전지의 위험성을 연속 보도해, 군의 후속 대책을 끌어냈습니다.
그런데, 당시 국방부가 약속한 군용 전지 개선 사업은 더디기만 하고, 그러는 사이 폭발과 화재는 또 잇따르고 있습니다.
한동오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해 군대에서 잇따라 발생한 리튬 1차 전지 폭발과 대형 화재.
모두, 비가 온 날이거나 내린 직후였습니다.
[화재 조사 담당자 (지난해 8월) : 많은 비가 오고 있었고 건물 외벽과 방화벽 사이에 틈으로 빗물이 유입….]
원인 가운데 하나는 물에 닿으면 폭발하는 리튬의 특성을 무시한 심각한 관리부실로 추정됐습니다.
[박철완 / 전 한국전지학회 상임이사 : 이것도 무기 다루듯이 좀 더 엄격하게 관리해야 했던 거예요. 즉, 부주의가 더 컸던 거예요.]
YTN 보도 이후 국방부는 군용 전지 창고에 열 감지 장비를 설치하는 등의 관리 개선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그런데 대책 마련 뒤에도 폭발과 화재는 이어지고 있습니다.
창고 형태의 대형 건물에서 엄청난 양의 연기가 뿜어져 나옵니다.
불이 난 곳은 군에서 쓰고 버린 리튬 전지 등을 폐기하는 업체.
이번에도 화재 전날 비가 내렸고, 관리 부실이 또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고령소방서 관계자 : 기 손상 등에 의해서도 그렇고, 수분이 침투하거나 그러면 리튬은 물에 쉽게 반응하거든요.]
취재진이 확보한 화재 보고서를 보면, 이 업체에서는 2014년부터 올해까지 6차례 불이 났는데 대부분 리튬과 수분의 반응 때문으로 추정됐습니다.
지난 10일에는 육군 군수지원단 폐 리튬 전지 창고에서도 불이 났습니다.
역시, 전날 비가 내렸습니다.
군이 후속 대책으로 발표했던 화재 예방 항온항습기나 열 감지 카메라는 창고에 없었습니다.
자칫 불쏘시개가 될 수 있는 폐 리튬 전지를 자동차 배터리 등과 함께 보관해 피해가 컸습니다.
YTN은 국방부 후속대책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군용 전지 창고 공사 수주 현황을 전수조사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전기, 소방, 보수 공사 계약은 모두 16건에 불과합니다.
군용 전지 창고 개선을 위한 예산 자체가 별도로 책정되지 않았고, 다른 곳에서 쓰고 남은 돈이 있으면 끌어다 쓰는 식이었습니다.
군의 현대화 추세와 맞물려 전자 장비가 늘어나면서 군용 전지 폭발 사고가 이어지고 있지만, 군의 대처는 여전히 미온적입니다.
YTN 한동오[hdo86@ytn.co.kr]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00629053432074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u0026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단독] 군용전지, 사용 중에도 '펑펑'...軍 사실상 방관·은폐 / YTN
[앵커]
YTN은 어제에 이어 오늘도 군용전지 폭발 문제를 집중 보도합니다.
무전기 등에 들어가는 군용 리튬 1차 전지는 군 장병들이 실제 사용하는 도중에도 폭발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폭발 사고는 최근 10년 동안 한 해 평균 10건씩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데도, 군은 손을 놓고 있습니다.
한동오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기자]
군용 리튬 1차 전지 폭발 사고 사진입니다.
수십 킬로그램에 이르는 무전기가 날아갈 정도로 충격이 컸습니다.
YTN은 정보 공개 청구 등을 통해 폭발 사고 현황을 입수했습니다.
대부분 군 장병들이 무전기나 탐색 장비 등을 사용하던 중 갑자기 배터리 부분이 터졌습니다.
이렇게 최근 10년 동안 육군에서 모두 95건의 폭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한 해 평균 10번꼴입니다.
[박철완 / 전 한국전지학회 상임이사 : (배터리를) 무기 다루듯이 하지 않은 거예요, 군인들이. 이것도 무기 다루듯이 좀 더 엄격하게 관리해야 했던 거예요. 즉, 부주의가 더 컸던 거예요.]
특히, 지난해 군용전지 폭발이 대형 화재로까지 번진 이유는 군의 현대화 추세와 무관하지 않아 보입니다.
레이저를 이용한 가상 전투 장비 도입과 신형 무전기 교체 등으로 군용전지 수요가 크게 늘었지만, 창고에 쌓아만 두고 제대로 관리 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입니다.
[신종우 /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 : 무전기는 늘어날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서 리튬 배터리 같은 것들도 더 늘어날 수밖에 없는 거죠. 배터리의 문제 때문에 화재가 난 거냐, 보관과 관리 때문에 문제가 난 거냐 따져봐야겠죠.]
10년 치 군용전지 폭발사고 현황을 분석해 보면, 눈에 띄는 점이 또 있습니다.
전체 95건 가운데, FM 무전기에 들어가는 특정 전지에서 절반이 넘는 50건의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해당 전지는 A사가 독점하다시피 납품하고 있습니다.
최근 A사의 군납 실적은 급증하고 있어서, 지금도 같은 제품이 군에서 널리 쓰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A사는 리튬전지는 단락과 과방전 등으로 파열될 수 있다면서, 제품 결함 가능성에 대해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습니다.
YTN 한동오입니다.
[앵커]
군용전지 폭발은 군대뿐만 아니라 제조 공장에서도 발생해 그 위험성을 이미 업계에서도 알고 있지만, 정작 군은 사고를 덮고 숨기는 데만 급급합니다.
폭발 위험이 없는 신형 전지로 교체하는 사업도 5년째 표류하는 가운데 별다른 안전 조치도 없이 리튬 전지는 계속 쓰이고 있습니다.
이어서 이정미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기자]
2015년 10월 군용전지 생산 업체 공장에서 불이 났습니다.
리튬전지가 연쇄 폭발하면서 마치 전투라고 벌어진 듯 굉음이 쉴새 없이 이어집니다.
2017년에도 군용전지 생산 업체 공장에서 불이 났습니다.
군용 리튬 1차 전지의 폭발 위험성은 이미 업계에서는 다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배터리 판매업체 A : 지금은 안 나와요. 왜 그걸 못쓰게 했느냐 하면 그게 폭발력이 되게 커요. 리튬이라는 게 원래.]
[배터리 판매업체 B : (민간) 시장에 공급을 안 한 건 한 5년은 됐을 것 같아요." (폭발 사고 때문에?) "그런 것도 있고 성능도 좀 떨어져요.]
과거 국정감사를 통해서도 문제가 지적됐습니다.
당시 군은 안전한 '공기 아연 전지'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국회에 밝혔습니다.
하지만 품질과 운용 적합성 검사까지 진행하고도 정작 교체 사업은 5년째 제자리걸음입니다.
그러는 사이, 지난해에는 군용 리튬전지를 쌓아 둔 창고에서 화재까지 잇따랐습니다.
군은...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00428054729704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u0026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혹한 못 견디는 배터리…차세대 軍 무전기 ‘먹통’ 우려 / KBS뉴스(News)
우리 군이 양산을 앞둔 차세대 무전기의 배터리가 혹한에 견디기 힘든 수준으로 개발된 사실이 K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배터리 때문에 멀쩡한 무전기가 혹한기 작전에서는 먹통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
한승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방위사업청 산하 국방과학연구소가 주관해 자체 개발한 신형 다기능 무전기 TMMR입니다.
2007년 개발을 시작한 차세대 군용 무전기로, 내년부터 양산돼 군에 보급됩니다.
이 무전기는 영하 32도까지 견디도록 개발됐습니다.
혹한기 작전을 고려한 합참의 '작전운용성능' 규정에 따른 겁니다.
문제는 무전기에 장착될 배터리입니다.
함께 개발된 2차 전지는 영하 20도까지만 견딜 수 있습니다.
영하 32도까지 사용할 수 있는 기존 무전기 배터리와 12도나 차이가 납니다.
영하 20도 아래로 기온이 내려가면, 배터리가 쉽게 방전돼 무전기가 먹통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도 문제의 배터리를 장착한 TMMR 무전기는 지난해 5월 육군의 운용시험 평가에서 적합 판정을 받았습니다.
해당 배터리는 리튬폴리머 소재로 만든 2차 전지인데, 이에 대한 '작전운용성능' 규정이 따로 없다는 게 이유였습니다.
하지만 군수품 품질을 관리하는 국방기술품질원은 두 달 뒤 배터리가 온도 요구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고, 성능 입증 시험들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며 방위사업청에 개선을 권고했습니다.
사실상 불합격 판정을 내린 겁니다.
[김병기/국회 국방위원/더불어민주당 의원 : "(군이) 핵심 성능을 직접 시험하지 않고 ADD(국방과학연구소)가 제출한 문서만으로 합격 처리하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입니다."]
방위사업청은 기품원의 지적 뒤에도 사업을 그대로 추진해오다가 취재가 시작되자 뒤늦게 문제점을 인정하고, 배터리 규격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한승연입니다.
[앵커]
YTN은 지난 4월 비 내린 날 폭발 사고가 빈발한 군용 리튬 1차 전지의 위험성을 연속 보도해, 군의 후속 대책을 끌어냈습니다.
그런데, 당시 국방부가 약속한 군용 전지 개선 사업은 더디기만 하고, 그러는 사이 폭발과 화재는 또 잇따르고 있습니다.
한동오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해 군대에서 잇따라 발생한 리튬 1차 전지 폭발과 대형 화재.
모두, 비가 온 날이거나 내린 직후였습니다.
[화재 조사 담당자 (지난해 8월) : 많은 비가 오고 있었고 건물 외벽과 방화벽 사이에 틈으로 빗물이 유입….]
원인 가운데 하나는 물에 닿으면 폭발하는 리튬의 특성을 무시한 심각한 관리부실로 추정됐습니다.
[박철완 / 전 한국전지학회 상임이사 : 이것도 무기 다루듯이 좀 더 엄격하게 관리해야 했던 거예요. 즉, 부주의가 더 컸던 거예요.]
YTN 보도 이후 국방부는 군용 전지 창고에 열 감지 장비를 설치하는 등의 관리 개선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그런데 대책 마련 뒤에도 폭발과 화재는 이어지고 있습니다.
창고 형태의 대형 건물에서 엄청난 양의 연기가 뿜어져 나옵니다.
불이 난 곳은 군에서 쓰고 버린 리튬 전지 등을 폐기하는 업체.
이번에도 화재 전날 비가 내렸고, 관리 부실이 또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고령소방서 관계자 : 기 손상 등에 의해서도 그렇고, 수분이 침투하거나 그러면 리튬은 물에 쉽게 반응하거든요.]
취재진이 확보한 화재 보고서를 보면, 이 업체에서는 2014년부터 올해까지 6차례 불이 났는데 대부분 리튬과 수분의 반응 때문으로 추정됐습니다.
지난 10일에는 육군 군수지원단 폐 리튬 전지 창고에서도 불이 났습니다.
역시, 전날 비가 내렸습니다.
군이 후속 대책으로 발표했던 화재 예방 항온항습기나 열 감지 카메라는 창고에 없었습니다.
자칫 불쏘시개가 될 수 있는 폐 리튬 전지를 자동차 배터리 등과 함께 보관해 피해가 컸습니다.
YTN은 국방부 후속대책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군용 전지 창고 공사 수주 현황을 전수조사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전기, 소방, 보수 공사 계약은 모두 16건에 불과합니다.
군용 전지 창고 개선을 위한 예산 자체가 별도로 책정되지 않았고, 다른 곳에서 쓰고 남은 돈이 있으면 끌어다 쓰는 식이었습니다.
군의 현대화 추세와 맞물려 전자 장비가 늘어나면서 군용 전지 폭발 사고가 이어지고 있지만, 군의 대처는 여전히 미온적입니다.
YTN 한동오[hdo86@ytn.co.kr]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00629053432074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u0026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단독] 군용전지, 사용 중에도 '펑펑'...軍 사실상 방관·은폐 / YTN
[앵커]
YTN은 어제에 이어 오늘도 군용전지 폭발 문제를 집중 보도합니다.
무전기 등에 들어가는 군용 리튬 1차 전지는 군 장병들이 실제 사용하는 도중에도 폭발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폭발 사고는 최근 10년 동안 한 해 평균 10건씩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데도, 군은 손을 놓고 있습니다.
한동오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기자]
군용 리튬 1차 전지 폭발 사고 사진입니다.
수십 킬로그램에 이르는 무전기가 날아갈 정도로 충격이 컸습니다.
YTN은 정보 공개 청구 등을 통해 폭발 사고 현황을 입수했습니다.
대부분 군 장병들이 무전기나 탐색 장비 등을 사용하던 중 갑자기 배터리 부분이 터졌습니다.
이렇게 최근 10년 동안 육군에서 모두 95건의 폭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한 해 평균 10번꼴입니다.
[박철완 / 전 한국전지학회 상임이사 : (배터리를) 무기 다루듯이 하지 않은 거예요, 군인들이. 이것도 무기 다루듯이 좀 더 엄격하게 관리해야 했던 거예요. 즉, 부주의가 더 컸던 거예요.]
특히, 지난해 군용전지 폭발이 대형 화재로까지 번진 이유는 군의 현대화 추세와 무관하지 않아 보입니다.
레이저를 이용한 가상 전투 장비 도입과 신형 무전기 교체 등으로 군용전지 수요가 크게 늘었지만, 창고에 쌓아만 두고 제대로 관리 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입니다.
[신종우 /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 : 무전기는 늘어날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서 리튬 배터리 같은 것들도 더 늘어날 수밖에 없는 거죠. 배터리의 문제 때문에 화재가 난 거냐, 보관과 관리 때문에 문제가 난 거냐 따져봐야겠죠.]
10년 치 군용전지 폭발사고 현황을 분석해 보면, 눈에 띄는 점이 또 있습니다.
전체 95건 가운데, FM 무전기에 들어가는 특정 전지에서 절반이 넘는 50건의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해당 전지는 A사가 독점하다시피 납품하고 있습니다.
최근 A사의 군납 실적은 급증하고 있어서, 지금도 같은 제품이 군에서 널리 쓰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A사는 리튬전지는 단락과 과방전 등으로 파열될 수 있다면서, 제품 결함 가능성에 대해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습니다.
YTN 한동오입니다.
[앵커]
군용전지 폭발은 군대뿐만 아니라 제조 공장에서도 발생해 그 위험성을 이미 업계에서도 알고 있지만, 정작 군은 사고를 덮고 숨기는 데만 급급합니다.
폭발 위험이 없는 신형 전지로 교체하는 사업도 5년째 표류하는 가운데 별다른 안전 조치도 없이 리튬 전지는 계속 쓰이고 있습니다.
이어서 이정미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기자]
2015년 10월 군용전지 생산 업체 공장에서 불이 났습니다.
리튬전지가 연쇄 폭발하면서 마치 전투라고 벌어진 듯 굉음이 쉴새 없이 이어집니다.
2017년에도 군용전지 생산 업체 공장에서 불이 났습니다.
군용 리튬 1차 전지의 폭발 위험성은 이미 업계에서는 다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배터리 판매업체 A : 지금은 안 나와요. 왜 그걸 못쓰게 했느냐 하면 그게 폭발력이 되게 커요. 리튬이라는 게 원래.]
[배터리 판매업체 B : (민간) 시장에 공급을 안 한 건 한 5년은 됐을 것 같아요." (폭발 사고 때문에?) "그런 것도 있고 성능도 좀 떨어져요.]
과거 국정감사를 통해서도 문제가 지적됐습니다.
당시 군은 안전한 '공기 아연 전지'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국회에 밝혔습니다.
하지만 품질과 운용 적합성 검사까지 진행하고도 정작 교체 사업은 5년째 제자리걸음입니다.
그러는 사이, 지난해에는 군용 리튬전지를 쌓아 둔 창고에서 화재까지 잇따랐습니다.
군은...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00428054729704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u0026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혹한 못 견디는 배터리…차세대 軍 무전기 ‘먹통’ 우려 / KBS뉴스(News)
우리 군이 양산을 앞둔 차세대 무전기의 배터리가 혹한에 견디기 힘든 수준으로 개발된 사실이 K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배터리 때문에 멀쩡한 무전기가 혹한기 작전에서는 먹통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
한승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방위사업청 산하 국방과학연구소가 주관해 자체 개발한 신형 다기능 무전기 TMMR입니다.
2007년 개발을 시작한 차세대 군용 무전기로, 내년부터 양산돼 군에 보급됩니다.
이 무전기는 영하 32도까지 견디도록 개발됐습니다.
혹한기 작전을 고려한 합참의 '작전운용성능' 규정에 따른 겁니다.
문제는 무전기에 장착될 배터리입니다.
함께 개발된 2차 전지는 영하 20도까지만 견딜 수 있습니다.
영하 32도까지 사용할 수 있는 기존 무전기 배터리와 12도나 차이가 납니다.
영하 20도 아래로 기온이 내려가면, 배터리가 쉽게 방전돼 무전기가 먹통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도 문제의 배터리를 장착한 TMMR 무전기는 지난해 5월 육군의 운용시험 평가에서 적합 판정을 받았습니다.
해당 배터리는 리튬폴리머 소재로 만든 2차 전지인데, 이에 대한 '작전운용성능' 규정이 따로 없다는 게 이유였습니다.
하지만 군수품 품질을 관리하는 국방기술품질원은 두 달 뒤 배터리가 온도 요구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고, 성능 입증 시험들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며 방위사업청에 개선을 권고했습니다.
사실상 불합격 판정을 내린 겁니다.
[김병기/국회 국방위원/더불어민주당 의원 : "(군이) 핵심 성능을 직접 시험하지 않고 ADD(국방과학연구소)가 제출한 문서만으로 합격 처리하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입니다."]
방위사업청은 기품원의 지적 뒤에도 사업을 그대로 추진해오다가 취재가 시작되자 뒤늦게 문제점을 인정하고, 배터리 규격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한승연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