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페이지 정보
본문
아이를 낳지 않는 나라 #저출산 | 세대톡 나터뷰 | 국회방송
"걱정 없이 아이를 키우기 위해 무엇이 필요할까요?"
"대한민국에서 왜 아이를 낳지 않나요?"
10대부터 60대까지
각 세대의 사람들에게 물었습니다
#대한민국 #저출산 #출산율 #세대톡 #나터뷰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어린이 #학생 #청년 #중장년 #노인 #아이를낳지않는나라 #저출산사회 #육아휴직 #양육비 #임신 #출산 #국회방송 #NATV
@tetriusno1 : 표심과 눈치 때문에 진짜 문제는 쏘~옥~ 빼고 Ctrl + C / Ctrl + V 만 반복하는 언론과 공중파 + 이 영상에 찬사를 보냅니다. 우~~~~~~~~~~~~~ ^^
@user-vw1ue4zp5h : 이 시대를 살아가는데 좋은 취지의 영상입니다
@user-jh5jy2kh3j : 현재 우리나라의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SEONGGEUNKANG : 수도권하고 부산 집값때문에 힘드네.
@user-vq1fp5nf2g : 전부 들어보면 다 지원해달라는것밖에없으며 전세대들이 원하는게 너무많고 삶의 질을 올리기에 정부에서 얼마나 많은 지원해야하는지 감조차 잡히질않음. 솔찍히 말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영역임. 결론적으로 출산율은 계속 곤두박질 칠꺼임 이세상은 유토피아적으로 흘러가는게 아니고 10년전에도 같은 패턴이었는데 변하는건 없었음. 결국 파멸의 길로 걸어갈듯 ㅠ
[1일1뉴스] "낳을수록 얼마 더? 아니라니까요" 저출산 대책 뼈 때린 정성호 / JTBC News
0:00 윤 대통령, 저출산위 첫 주재 "과감한 대책을"…5대 과제 발표 (3.28 뉴스룸)
0:36 무려 5남매 '다둥이 아빠' 정성호와 함께하는 현실 육아 토크! (6.3 뉴썰)
시리즈 더 보기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3Eb1N33oAXibzd-Oluy3er2p_jkBpL33
#저출산 #정성호 #현실육아 #1일1뉴스 #뉴썰
본방 후 유튜브에서 앵커들과 더 가까이!
☞JTBC 모바일라이브 시청하기 https://bit.ly/3iYhEqa
☞JTBC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hYgWZg)
☞JTBC유튜브 커뮤니티 (https://bit.ly/2LZIwke)
#JTBC뉴스 공식 페이지
(홈페이지) https://news.jtbc.co.kr
(APP) https://news.jtbc.co.kr/Etc/SmartPhoneReport.aspx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jtbcnews
트위터 https://twitter.com/JTBC_news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jtbcnews
☏ 제보하기 https://news.jtbc.co.kr/Etc/InterNetReport.aspx
방송사 : JTBC (https://jtbc.co.kr)
JTBC News : [다시보기] 뉴썰|무려 5남매 '다둥이 아빠' 정성호와 함께하는 현실 육아 토크! (23.6.3) / JTBC News
carpediem : 하나부터 지원해줘야한다 이말 대박..
아이하나라는이유만으로 뭐가힘드냐 소리는 당연시 들어야했는데 지금 한명인데 취업하기어렵고 일하다가 아프단전화받고 가려할때마다 눈치보여서 퇴사했는데 정말 한명도 이렇게 어려운데 둘은 엄두도 못내겠어요.
KATE LEE : 한명도... 눈치를 많이 봤어요. 혼자 일하면서 키웠는데.. 어린이집 보내다보면 자주 아프고 그랬지만, 병원이라고 데리고 가려고 오프 요청하면 이래서 기혼은 안된다면서 말했던 팀장님의 말씀이 칼이 되었어요..
꼬기 : 사이다네요 저도 회사눈치때문에 둘째 낳기 두달전에 퇴사하고 자영업으로 돌아섰습니다. 첫째때도 엄청 눈치보였는데 아이 하나키우는데도 환경 희생 정말 큽니다.
로니 : 진짜 너무 맞는말 육아휴직 못쓰게 하거나 휴직 쓰고 왔는데 불합리한 처사가 있음 그에 대응하는 패널티를 국가에서 해줘야하는데 그래야 인식도 점점 변할텐데
돈많이 버는 사람을 위한 나라다보니 그런게 없음
애 없고 결혼안한 20대인데도 이상하다 보는데 아이 있으신분들은 얼마나 힘드실까요...
잘 풍요롭게 살아가기 위해 돈을 버는건데 이 나라에서 일하다보면 돈을 위해 (특히 남에돈) 내가 갈리는 느낌을 받음
캐나다로 다시 이민하고 싶은 이유(Feat. 저출산 대책으로 아파트를 준다고?)
캐나다로 이민을 가게 된 계기는 여러가지가 있다.
여러 이유중 하나는 한국에서 직장생활을 하며 아이를 키우기 수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요즘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저출산 문제..
이민을 하기 전이나 다시 한국으로 돌아온 이후에도 여전히 회사를 다니며 육아를 하기에 수월하지 않은 사회이다.
청년세대가 '사회에 대한 불신'이 클 때 결혼과 출산, 육아를 포기한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고 한다.
비록 한국으로 돌아와 직장인이 되기를 포기했지만
캐나다에서 직장인으로써 생활할 때 느꼈던 부분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인스타그램 : 캐나다현 ☞ https://www.instagram.com/orgol82/?hl=ko
희번덕여사☞https://www.instagram.com/tome_2hj/?hl=ko
#이민 #저출산 #역이민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할머니의 피아노 -
Song : 샛별 - 당신의 밤이 평온하기를 /
캐나다현 Canadahyun : 안녕하세요^^캐나다현입니다.
저는 한국을 사랑하는 사람입니다.
다시 돌아온 한국이 너무 좋은 사람입니다.
저희부부도 아이들도 앞으로도 한국에서 열심히 살거구요^^
우리나라에서 셋째가 낳고 싶은 사람입니다(?)
지금도 충분히 살기 좋은 나라이지만
더 좋은나라가 되었으면 하는 작은 소망을 담아 영상을 만들었습니다..
이유선 : 참으로 옳으신 말씀입니다.♡
Y. G. Lee : 아들 며늘아가 호주에 있어요
손자 보고싶다고 말 못합니다
귀하는 당당한 애국자 입니다
H : 저도 아이 키우는 입장에서 현님의 모든 발자취가 다 이해가 되고 몸소 실천하고 겪어보신 부분에 큰 박수를 보냅니다. 이번 영상은 감동적이고 뭉클하기도 하네요. 현님의 실없는 개그코드도 좋아하지만 인생에 최선을 다하시는 모습도 너무 좋아요 아이가 우선 되고 아이를 배려하는 나라가 되는건 정말 어려운 일일까요 현님 유튜브 항상 응원합니다
Emily : 내 나라에서 희망을 엮어보겠다는 마지막 말이 가슴에 많이 남습니다. 이런 생각이 모이고 모이면 분명 이뤄질거라 믿어요!
"걱정 없이 아이를 키우기 위해 무엇이 필요할까요?"
"대한민국에서 왜 아이를 낳지 않나요?"
10대부터 60대까지
각 세대의 사람들에게 물었습니다
#대한민국 #저출산 #출산율 #세대톡 #나터뷰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어린이 #학생 #청년 #중장년 #노인 #아이를낳지않는나라 #저출산사회 #육아휴직 #양육비 #임신 #출산 #국회방송 #NATV
@tetriusno1 : 표심과 눈치 때문에 진짜 문제는 쏘~옥~ 빼고 Ctrl + C / Ctrl + V 만 반복하는 언론과 공중파 + 이 영상에 찬사를 보냅니다. 우~~~~~~~~~~~~~ ^^
@user-vw1ue4zp5h : 이 시대를 살아가는데 좋은 취지의 영상입니다
@user-jh5jy2kh3j : 현재 우리나라의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SEONGGEUNKANG : 수도권하고 부산 집값때문에 힘드네.
@user-vq1fp5nf2g : 전부 들어보면 다 지원해달라는것밖에없으며 전세대들이 원하는게 너무많고 삶의 질을 올리기에 정부에서 얼마나 많은 지원해야하는지 감조차 잡히질않음. 솔찍히 말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영역임. 결론적으로 출산율은 계속 곤두박질 칠꺼임 이세상은 유토피아적으로 흘러가는게 아니고 10년전에도 같은 패턴이었는데 변하는건 없었음. 결국 파멸의 길로 걸어갈듯 ㅠ
[1일1뉴스] "낳을수록 얼마 더? 아니라니까요" 저출산 대책 뼈 때린 정성호 / JTBC News
0:00 윤 대통령, 저출산위 첫 주재 "과감한 대책을"…5대 과제 발표 (3.28 뉴스룸)
0:36 무려 5남매 '다둥이 아빠' 정성호와 함께하는 현실 육아 토크! (6.3 뉴썰)
시리즈 더 보기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3Eb1N33oAXibzd-Oluy3er2p_jkBpL33
#저출산 #정성호 #현실육아 #1일1뉴스 #뉴썰
본방 후 유튜브에서 앵커들과 더 가까이!
☞JTBC 모바일라이브 시청하기 https://bit.ly/3iYhEqa
☞JTBC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hYgWZg)
☞JTBC유튜브 커뮤니티 (https://bit.ly/2LZIwke)
#JTBC뉴스 공식 페이지
(홈페이지) https://news.jtbc.co.kr
(APP) https://news.jtbc.co.kr/Etc/SmartPhoneReport.aspx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jtbcnews
트위터 https://twitter.com/JTBC_news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jtbcnews
☏ 제보하기 https://news.jtbc.co.kr/Etc/InterNetReport.aspx
방송사 : JTBC (https://jtbc.co.kr)
JTBC News : [다시보기] 뉴썰|무려 5남매 '다둥이 아빠' 정성호와 함께하는 현실 육아 토크! (23.6.3) / JTBC News
carpediem : 하나부터 지원해줘야한다 이말 대박..
아이하나라는이유만으로 뭐가힘드냐 소리는 당연시 들어야했는데 지금 한명인데 취업하기어렵고 일하다가 아프단전화받고 가려할때마다 눈치보여서 퇴사했는데 정말 한명도 이렇게 어려운데 둘은 엄두도 못내겠어요.
KATE LEE : 한명도... 눈치를 많이 봤어요. 혼자 일하면서 키웠는데.. 어린이집 보내다보면 자주 아프고 그랬지만, 병원이라고 데리고 가려고 오프 요청하면 이래서 기혼은 안된다면서 말했던 팀장님의 말씀이 칼이 되었어요..
꼬기 : 사이다네요 저도 회사눈치때문에 둘째 낳기 두달전에 퇴사하고 자영업으로 돌아섰습니다. 첫째때도 엄청 눈치보였는데 아이 하나키우는데도 환경 희생 정말 큽니다.
로니 : 진짜 너무 맞는말 육아휴직 못쓰게 하거나 휴직 쓰고 왔는데 불합리한 처사가 있음 그에 대응하는 패널티를 국가에서 해줘야하는데 그래야 인식도 점점 변할텐데
돈많이 버는 사람을 위한 나라다보니 그런게 없음
애 없고 결혼안한 20대인데도 이상하다 보는데 아이 있으신분들은 얼마나 힘드실까요...
잘 풍요롭게 살아가기 위해 돈을 버는건데 이 나라에서 일하다보면 돈을 위해 (특히 남에돈) 내가 갈리는 느낌을 받음
캐나다로 다시 이민하고 싶은 이유(Feat. 저출산 대책으로 아파트를 준다고?)
캐나다로 이민을 가게 된 계기는 여러가지가 있다.
여러 이유중 하나는 한국에서 직장생활을 하며 아이를 키우기 수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요즘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저출산 문제..
이민을 하기 전이나 다시 한국으로 돌아온 이후에도 여전히 회사를 다니며 육아를 하기에 수월하지 않은 사회이다.
청년세대가 '사회에 대한 불신'이 클 때 결혼과 출산, 육아를 포기한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고 한다.
비록 한국으로 돌아와 직장인이 되기를 포기했지만
캐나다에서 직장인으로써 생활할 때 느꼈던 부분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인스타그램 : 캐나다현 ☞ https://www.instagram.com/orgol82/?hl=ko
희번덕여사☞https://www.instagram.com/tome_2hj/?hl=ko
#이민 #저출산 #역이민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할머니의 피아노 -
Song : 샛별 - 당신의 밤이 평온하기를 /
캐나다현 Canadahyun : 안녕하세요^^캐나다현입니다.
저는 한국을 사랑하는 사람입니다.
다시 돌아온 한국이 너무 좋은 사람입니다.
저희부부도 아이들도 앞으로도 한국에서 열심히 살거구요^^
우리나라에서 셋째가 낳고 싶은 사람입니다(?)
지금도 충분히 살기 좋은 나라이지만
더 좋은나라가 되었으면 하는 작은 소망을 담아 영상을 만들었습니다..
이유선 : 참으로 옳으신 말씀입니다.♡
Y. G. Lee : 아들 며늘아가 호주에 있어요
손자 보고싶다고 말 못합니다
귀하는 당당한 애국자 입니다
H : 저도 아이 키우는 입장에서 현님의 모든 발자취가 다 이해가 되고 몸소 실천하고 겪어보신 부분에 큰 박수를 보냅니다. 이번 영상은 감동적이고 뭉클하기도 하네요. 현님의 실없는 개그코드도 좋아하지만 인생에 최선을 다하시는 모습도 너무 좋아요 아이가 우선 되고 아이를 배려하는 나라가 되는건 정말 어려운 일일까요 현님 유튜브 항상 응원합니다
Emily : 내 나라에서 희망을 엮어보겠다는 마지막 말이 가슴에 많이 남습니다. 이런 생각이 모이고 모이면 분명 이뤄질거라 믿어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