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인도회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로스터리정 조회 18회 작성일 2023-07-05 07:46:38 댓글 0

본문

동인도회사 _ 17~18세기 식민 제국의 시작

16세기 포르투갈에 이어 17~18세기 세계 해상 패권을 장악한 네덜란드와 영국의 동인도 회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참고문헌)
대항해시대. 주경철

BGM)
Kevin MacLeod의 BTS Prolog은(는)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라이선스(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에 따라 라이선스가 부여됩니다.
출처: http://freepd.com/Unclassified/BTS%20Prolog
아티스트: http://incompetech.com/
@charlemagne2705 : 네델란드인의 금융 서비스 3차 산업 규모는 대단합니다. 어렸을땐 튜립재배하고 돼지고기 팔아 저렇게 부자 나라가 됐나 궁금했는데 그게 아니라 세계에서 가장 먼저 주식회사 체재를 만들고 영국과 함께 금융 서버스 산업으로 변신한 국가 였습니다. 차가운 비가 내리는 인적없는 우충충한 영국이나 네델란드 거리를 걷다 보면 이 나라 사람들은 뭘 해서 먹고 살지 궁금해 했는데 대부분 금융 보험 주식투자등으로 먹고 사는 국가들이더군요. 물론 그 자본금은 우리나라 같은 3세계 국가들을 착취한 돈이고요.
@user-zq6gr8cq3h : 궁금한 교과서의 뒷이야기 다 긁어주셔서 너무 시원해요 항상 감사합니다!
@belleepoquela3271 : 네덜란드가 정부주도가 아닌 시민 주도로 동인도 회사를 만든 이유가 네덜란드 독립전쟁 때문이었죠.
네덜란드는 당대 최강국이었던 (지금은 쩌리 취급이지만) 스페인에 대항하여 독립 전쟁을 치루느라 여력이 없는 와중에도 해양 무역의 중요성을 잊지 않았던거 같아요.
그래서 세계 최초의 주식 회사인 동인도 회사를 설립 (물론 최초의 동인도 회사는 아님), 30년 전쟁이 끝난 이후 해양 패권을 장악하죠.
네덜란드가 서유럽에서도 독특한 문화를 가진 이유로 간척 사업이 꼽히는데,
국토의 대다수가 간척사업으로 얻은 토지로 이루어진 네덜란드는 봉건제의 영향이 매우 적었다고 합니다.
간척 산업으로 만들어진 토지에 대해 귀족이나 왕족이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었고,
중세에도 귀족 이상이 가진 토지가 전체 토지의 3% 안팍이었다는 데, 중세 문화의 기준인 봉건제가 네달란드 문화에 큰 영향을 줄 순 없었겠죠.
봉건제에서 시작한, 약간은 딱딱한 서유럽의 문화와는 달리 네덜란드 (그리고 영국 정도?)가 보여준 유연한 사고가, 그 작은 나라가 세계 해양 패권을 거머쥘 수 있는 원동력이 아니었을지.
물론, 작은 국가가 가진 작은 한계는 못 이기고, 프랑스와 영국과의 마찰을 통해 점차 세퇴했지만요.
@inyokechoi4703 : 동인도회사에대한 요약 설명 이번에도 잘봤습니다 ^^ 대부분'인도'는 영국만이 식민지배를 한걸로 인식하는데 초기에 포르투칼-네덜란드-프랑스 도 진출해서 각축전을 벌이다 영국이 최종승리해서 독점한거죠
@ktx3534 : 오 안그래도 네덜란드공부한다고 16,17세기 유럽나라들 역사다시 공부하는중인데 나한테 딱필요했던 주제영상 귯 ^~^

[KBS 역사저널 그날] 세계 최초의 주식회사! 네덜란드 동인도회사ㅣKBS 211204 방송

[338회 그날 클립영상] 세계 최초의 주식회사!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역사저널그날 338회 “대항해시대⑤ 후발주자의 헝거게임, 네덜란드 VS 영국”

자세한 방송 내용이 궁금하다면?
KBS 공식 홈에서 #다시보기 ▶ https://bit.ly/2T6TdtY
WAVVE에서 #다시보기 ▶ https://bit.ly/3hBmkim

#대항해시대 #동인도회사
@dhubert9494 : 세계 최초이자 최대의 주식회사
@stern121 : 아...저 역사샘 안경... CG인줄.
@exo10anniversary5 : 세계의 중심 인도
@daneillouis4435 : 동인도회사.. 알고싶어서 검색해서 들어왓는데 들엇던 내용과 너무 다르네요..
주식회사는 맞지만 실제 햇던 악질적인 만행이 엄청낫던데요..
@ayb3691 : 천하전여총도는 고려인이 그린 진품 ㅡ  검 색

영국은 어떻게 인도를 식민통치 했을까?

#인도 #영국 #역사 #세계사

이번 영상에서는 영국이 어떻게 인도를 식민지로 만들고 통치를 강화해 나갔는지 다뤄보았습니다.

참고자료
Bayly, Christopher Alan: Indian Society and the Making of the British Empire, 1988
Harrington, Peter: Plassey 1757, Clive of India's Finest Hour, 1994
Wolpert, Stanley: A New History of India, 2004
@user-uc4px3vu6z : 인도가 평면지도로 보면 남쪽에 위치한 나라라서 크기를 과소평가당하기 쉬운데 인도의 넓이는 스칸디나비아 반도와 러시아를 제외한 유럽보다 넓습니다. 거기에 같은 지역에서 재배할 경우 밀에 비해 세배의 인구부양력을 갖고있는 쌀을 생산하여 소비하는 나라로 인구까지 중국과 역사적으로 엎치락 뒤치락 했기 때문에 영국입장에선 통치하기 여간 까다로울 수 밖에 없었을 겁니다.
@user-gy1pn5kx9s : 한눈에 볼수 있는 세게사 영상 참 좋아요!
학교에서 대충대충 넘어갔던 내용을 정말 세세하게 설명해주셔서 고마워요.
다음영상도 기대할께요!
@user-vq5cg8pg3s : 세겨사의 씨줄과 날줄이 연결되는 이런 방송 너무 좋아요. 훌륭합니다. 왜 이런 역사를 알지 못 했는지 후회스럽네요. 고맙습니다~~
@user-re9ex9gv2c : 복잡하고 유연한 카스트 제도가 영국의 근대적 법, 행정에 의해 더 경직되고 엄격한 제도로 전락하다니... 근대화와 (후진적으로 보이는) 전통은 단순한 대치 관계가 아니었네요. 근대화의 복잡성에 대해 잘 배워갑니다.
@redxavier8017 : "인도"라는 명칭은 원래 국가명이 아니라 지역명이었고 영국이 침략하여 식민지화하기 전까지는 이 지역에 여러 군소 왕국이 난립해 있었고 그나마 국력이 큰 나라가 무굴제국이었죠. 세포이의 난 이후 영국 정부가 직접 통치를 하면서 지금의 아프카니스탄부터 미얀마 지역까지를 하나로 묶어 인도제국이라 명명하고 인도 제국황제를 영국 국왕이 겸임하게 되었습니다. 즉, 형식적으로는 영국과 인도제국 두 나라간의 "동군연합" 체제가 성립된 것입니다. 인도제국이 탄생하고 난 후에도 영국의 직접적인 행정력이 미치기 어려운 곳은 봉건시대의 제후와 같이 지역 귀족에게 자치권을 주어 통치하도록 했습니다. 오늘날의 인도라는 나라는 식민지 독립 과정에서 국경선을 확정지어면서 탄생한 신생국가로 인도제국 이전에는 역사상 인도 지역 전체에 지배권을 행사한 나라가 없었습니다.

... 

#동인도회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993건 462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