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용품쇼핑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이더맨 조회 27회 작성일 2020-07-24 12:38:55 댓글 0

본문

“노인∙장애인도 쉽게 창업” 온라인마켓 ‘인기’

“노인∙장애인도 쉽게 창업” 온라인마켓 ‘인기’

#경기도온라인마케터교육

[앵커멘트] 온라인쇼핑 시장 규모가 10조 6천억 원을 넘었습니다. 1년 새 20%나 성장했는데요. 이 온라인마켓이 거동이 불편한 노인과 장애인에게 새로운 일자리가 되고 있습니다. 소자본으로도 시작할 수 있단 장점에 경기도가 운영하는 `온라인 마케터 교육`에서만 수강생의 절반 정도가 창업에 뛰어들었습니다. 보도의 한선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큰 모니터 여러 대가 눈에 띄는 이곳.

온라인 `오픈마켓`을 2년째 운영하는 지체장애인 김창복 씨의 집입니다.

생활용품부터 가전제품까지 무려 13만 개가 넘는 물건을 온라인 쇼핑몰인 G마켓과 11번가 등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한 달 평균 매출은 1천만 원.

몸이 따라주지 못해 빠듯했던 생활에 여유가 생겼습니다.

[인터뷰] 김창복 / 오픈마켓 창업(지체장애인)
"내가 스스로 사업을 해서 일정한 수입도 올리고 가정의 부담도 덜고 노력만 하면 노후가 문제없는 ∙∙∙"

`오픈마켓`은 중간 도매 사이트에 올라온 상품을 쇼핑몰에 대신 올려주고 수수료를 받는, 한마디로 제조업체와 소비자를 이어주는 온라인 장터입니다.

사무실 따로 없이 소자본으로 쉽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중국이주여성인 최지윤 씨도 1백만 원 남짓한 돈으로 마켓을 열었는데, 7개월여 만에 한 달 수입 4백만 원을 찍었습니다.

[인터뷰] 최지윤 / 오픈마켓 창업(중국이주여성)
“시간제한 없이 제가 하고 싶을 때, 하고 싶은 시간에 하고요. 돈도 벌 수 있고요, 그래서 이 직업은 제가 앞으로도 쭉 할 수 있는∙∙∙”

모두 경기도 ‘온라인 마케터 교육’을 통해 창업한 사람들.

지난 2017년부터 진행된 이 사업으로 전체 교육생 135명 가운데 절반 정도가 온라인 마케터가 됐습니다.

대부분 장애인과 고령층, 다문화여성 등 정보취약계층이었습니다.

[인터뷰] 오명숙 / 경기도 정보문화팀장
“실질적으로 가계에 도움도 되고 자립도도 높아지고 자신감도 얻게 되는 효과가∙∙∙”

경기도는 올해 지원 대상을 한부모가정까지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단순 업무에 머물던 취약계층 취업문이 정보의 바닷속에서 더 넓어지고 있습니다.



경기GTV 한선지입니다.

영상취재 : 류민호 나인선 , 영상편집 : 김정환



영상출처ㅡ

경기GTV | 한선지
http://m.gnews.gg.go.kr/news/movie_view.asp?number=201902081319237055C048\u0026s_code=daily\u0026b_code=\u0026lastidx=15\u0026scrollidx=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탁월한정치행정가이재명
#정부의역할
#공정한경쟁의질서확립
#공정한환경조성
#모두에게공평한기회가주어지는나라
#모두에게공정한경쟁이보장되는나라
#국민의안전과생명을최우선으로하는나라
#공정한경기도
#새로운경기도
#이재명경기도지사
#적폐청산
#억강부약
#공정사회공정국가
#참정치인이재명
#정치적과잉수사편파수사중단하라!!!
#힘내라이재명!!!
#경기포털뉴스
#MBSTV(mmm TV)
#최상천의사람나라





*(유튜브)이재명 경기도지사

https://www.youtube.com/channel/UCNJM6dqu70Qr6VaseiW1Org


*MBS TV (CH1) - (이재명만 바라본다)
https://www.youtube.com/user/singo4598

*mmm TV (CH2) - (이재명만 바라본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oH6MWKSefp76mhg3GptwVQ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늘바보M&S : “노인∙장애인도 쉽게 창업” 온라인마켓 ‘인기’

[앵커멘트] 온라인쇼핑 시장 규모가 10조 6천억 원을 넘었습니다. 1년 새 20%나 성장했는데요. 이 온라인마켓이 거동이 불편한 노인과 장애인에게 새로운 일자리가 되고 있습니다. 소자본으로도 시작할 수 있단 장점에 경기도가 운영하는 `온라인 마케터 교육`에서만 수강생의 절반 정도가 창업에 뛰어들었습니다. 보도의 한선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큰 모니터 여러 대가 눈에 띄는 이곳.

온라인 `오픈마켓`을 2년째 운영하는 지체장애인 김창복 씨의 집입니다.

생활용품부터 가전제품까지 무려 13만 개가 넘는 물건을 온라인 쇼핑몰인 G마켓과 11번가 등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한 달 평균 매출은 1천만 원.

몸이 따라주지 못해 빠듯했던 생활에 여유가 생겼습니다.

[인터뷰] 김창복 / 오픈마켓 창업(지체장애인)
"내가 스스로 사업을 해서 일정한 수입도 올리고 가정의 부담도 덜고 노력만 하면 노후가 문제없는 ∙∙∙"

`오픈마켓`은 중간 도매 사이트에 올라온 상품을 쇼핑몰에 대신 올려주고 수수료를 받는, 한마디로 제조업체와 소비자를 이어주는 온라인 장터입니다.

사무실 따로 없이 소자본으로 쉽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중국이주여성인 최지윤 씨도 1백만 원 남짓한 돈으로 마켓을 열었는데, 7개월여 만에 한 달 수입 4백만 원을 찍었습니다.

[인터뷰] 최지윤 / 오픈마켓 창업(중국이주여성)
“시간제한 없이 제가 하고 싶을 때, 하고 싶은 시간에 하고요. 돈도 벌 수 있고요, 그래서 이 직업은 제가 앞으로도 쭉 할 수 있는∙∙∙”

모두 경기도 ‘온라인 마케터 교육’을 통해 창업한 사람들.

지난 2017년부터 진행된 이 사업으로 전체 교육생 135명 가운데 절반 정도가 온라인 마케터가 됐습니다.

대부분 장애인과 고령층, 다문화여성 등 정보취약계층이었습니다.

[인터뷰] 오명숙 / 경기도 정보문화팀장
“실질적으로 가계에 도움도 되고 자립도도 높아지고 자신감도 얻게 되는 효과가∙∙∙”

경기도는 올해 지원 대상을 한부모가정까지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단순 업무에 머물던 취약계층 취업문이 정보의 바닷속에서 더 넓어지고 있습니다.

경기GTV 한선지입니다.

영상취재 : 류민호 나인선 , 영상편집 : 김정환
강오로라 : 일반인은 어디서 배우나요?
허건행 : 충주에도 있나요?
자수정 : 와~ 아이디어 굳
정말 대단하네요
감탄만 나오네

늘바보님 감사합니다

장애·재활 돕는 아이디어…해외서 주목

앵커 멘트

장애와 재활, 당사자들에겐 아주 불편하고, 또 절박한 문제죠.

이런 사람들을 위한 혁신적인 제품을 한국 스타트업들이 내놓고 있는데, 해외에서 먼저 주목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지형철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간을 알리는 점자가 나오는 시각 장애인용 시계입니다.

스마트폰과 연동해 SNS 메시지나 내비게이션 등의 알림 정보를 점자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점자 기계보다 값을 크게 떨어뜨린 30만 원대 가격으로, 판매 시작도 전에 국내외에서 선주문만 350억 원어치가 몰렸습니다.

개발 업체는 지난 2014년 창업 아이디어를 겨루는 KBS 황금의 펜타곤에서 우승했고, 최근 전 세계 스타트업이 아이디어를 겨루는 대회에서는 1등을 차지했습니다.

인터뷰 김주윤(점자 시계 스타트업 '닷' 대표) : "저는 정말로 대회를 위해 한다기보다는 저희 제품 발매 행사라고 생각하고 했거든요."

함께 개발한 소형 점자 기기는 케냐 시각장애인협회가 100만 달러어치를 도입합니다.

이 스마트 장갑은 정교하게 손의 움직임을 감지합니다.

뇌졸증 환자는 게임을 하며 재활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해외 병원이 잇따라 도입 중이고 세계 최대 가전제품 전시회에서 혁신상도 받았습니다.

대부분의 스타트업들 서비스가 고객 취향에 민감하고 유행을 타지만,

신체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상품들은 꾸준한 시장 확보가 가능합니다.

인터뷰 이한주(스타트업 육성 기업 ‘스파크랩’ 대표) : "보편성이 있기 때문에 한 나라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에 있는 모든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성장 가능성이 굉장히 큽니다."

장애와 재활 분야에서 주목받는 우리 스타트업들, 공익성과 사업성을 모두 거머쥐었다는 평가입니다.

KBS 뉴스 지형철입니다.

중앙보조기구센터 장애인보조기구전시장 안내 동영상

보조기구 전시장 견학 신청 및 문의 1670-5529

... 

#장애인용품쇼핑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993건 1188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